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국민공감혁신위원장 겸 원내대표가 17일 나흘간의 칩거를 끝내고 당무에 복귀했지만 여야간 세월호 특별법 협상은 한층 어려워질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주말 새누리당 이완구 원내대표와 박 원내대표가 공개회동했으나 기존 입장만 되풀이 한데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6일 여야 원내대표가 내놓은 2차 합의안이 `최종안`으로 더이상 야당과 유가족들의 뜻을 수용할 수 없다고 선을 그었기 때문이다. 새정치연합은 그동안 세월호 특별법 협상과 관련해 박 대통령이 협상의 물꼬를 터야 한다고 줄기차게 요구해 왔지만 오히려 당청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면서 세월호 특별법에 가로막힌 정국 파행은 더욱 장기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전날 국무회의에서 "세월호 진상조사위원회에 수사·기소권을 주면 삼권분립과 사법체계의 근간을 흔드는 일로 대통령으로서 할 수 없고 결단을 내릴 사안이 아니다"며 "특검 추천 위원 2명을 야당과 유가족의 동의가 없으면 추천할 수 없도록 한 2차 합의안이 여당의 마지막 결단"이라고 밝혔다.이후 박 대통령은 새누리당 지도부와의 회동에서도 `2차 합의안이 마지노선`이라는 점을 재확인했다. 아울러 새누리당에 여당이 주도적으로 민생 문제 해결에 앞장서야 한다고 요구하면서 사실상 `단독 국회` 강행에도 힘을 실어줬다. 그동안 새누리당 지도부는 2차 합의안 이상으로 `더 양보할 것이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이런 상황에서 박 대통령이 협상의 마지노선을 분명히 하면서 사실상 유가족들과 야당이 요구하는 양보 가능성은 희박해졌다. 새정치연합은 박 대통령의 `가이드라인` 제시에 강력 반발하고 있다. 그러면서 박 위원장은세월호 협상에 다시 나서겠다는 강한 의지를 나타냈다. 박 위원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어제 대통령은 삼권분립 운운하며 세월호 특별법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모순적 통치행위를 했다"고 정면 비판했다. 그는 이어 "박 대통령이 국회에 최후통첩을 하는 어처구니없는 사태는 결국 그동안 세월호 협상을 청와대가 뒤에서 주도했음을 스스로 밝힌 것이다.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세월호 특별법 문제는 이제 상황이 더 심각해졌다. 그러나 당 소속 의원들의 총의를 모아서 마지막 혼신의 힘을 쏟겠다"고 밝혔다. 우윤근 정책위의장도 이날 정책조정회의에서 "박 대통령이 여야 협상의 가이드라인까지 제시하는 발언을 했다"며 "민주주의와 의회주의 정신을 정면으로 거스르는 위험스런 발언이고, 제왕적 대통령 또 군림하는 대통령의 모습을 그대로 국민 앞에 드러내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조정식 사무총장 역시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 무시발언도 도를 넘어섰다"며 "박 대통령이 지금 해야할 일은 국회를 비난하고 국민을 분열시키는 것이 아니라 대통령 면담을 요구하는 국민을 만나고 철저한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이 조속히 제정될 수 있도록 협력하는 것"이라고 압박했다. 그동안 새정치연합은 2차 합의안에 대해 유가족들이 반대 의사를 밝히면서 뚜렷한 입장을 정하지 못했다. 이 과정에서 박 위원장의 원내대표직 사퇴와 탈당설까지 나오면서 새정치연합이 내홍에 휩싸이며 세월호협상을 사실상 `논외` 상황으로 치부돼온 것이다. 새정치연합은 현재 박 대통령을 겨냥, 비판하는 것외에 아직 별다른 대안이 없다는 한계에 직면해 있다. 새정치연합의 내부 혼란이 일단 수습 국면에 접어들더라도 세월호 특별법을 둘러싼 당내 이견이 정리되고, 박 위원장이 협상 전권을 가질 수 있을 지도 불투명하다. 사실상 당내 리더십을 상실한 박 위원장이 협상에 나서더라도 영향력을 제대로 가질지 의문이다. 따라서 재협상 의지를 밝힌 박 위원장이 실질적인 전권을 갖고 여당을 설득하거나 협상의 진전을 이뤄내기 위한 `묘수`를 찾아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