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우정청이 `대포통장 근절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대포통장 악용 원천 차단에 나서기로 했다. 지난해 금융기관 대포통장 피해 건수가 2만여건에 달하고, 피해액만1400억원에 육박함에 따른 것이다.이와 관련 경북청은 18일 `대포통장과의 전쟁`선포식을 가졌다. 선포식에 이어 대포통장의 범죄 수법과 악용에 따른 피해 사례 홍보를 위해 캠페인도 벌였다.이날 대구·경북지역 30개 총괄우체국에서도 선포식과 캠페인을 함께했다.우정청 관계자는 "은행권의 대포통장 단속 강화에 따른 풍선효과로 새마을금고, 우체국, 증권사 계좌가 대포통장으로 악용되는 사례가 증가해 이를 근절하기 위해 강력한 대책을 마련, 시행하게 됐다"고 말했다. 금융감독원 대포통장 피해구제 접수현황을 보면 2012년 2만16건이던 피해건수는 지난해 2만1464건으로 늘었다. 올해 상반기만 1만1082건이 접수됐다. 피해액도 2012년 1165억원, 지난해에는 1382억원, 올해 상반기의 경우 872억원으로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경북우정청은 이번 종합대책에 따라 우체국 통장개설 절차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르면 계좌 개설 목적이 불명확한 경우나 의심거래자 유형(10개 유형 90개 항목, 금감원)은 통장개설이 금지된다. 제3자를 동행해 통장발급을 요청하거나 본인의 주소지를 잘 모르는 경우, 단기간 다수계좌 개설 및 과거 대포통장개설 이력이 있는 경우 등이 이에 해당된다.새로 개설되는 통장이 대포통장으로 악용되는 상황을 최대한 봉쇄된다. 이를 위해 고객이나 휴면고객의 요구불계좌 개설 요구 시에도 원칙적으로 통장개설만을 허용하도록 했다.현금·체크카드의 경우 신청일로부터 15일 이후에 지연 발급되고, 통장이 개설된 경우에도 의심계좌에 대한 등록기준도 강화시켰다. 실시간 모니터링 기법도 고도화 되는데, 이를 통해 의심거래 발생시 해당 통장에 대해 즉시 통장이 지급 정지된다. 신속·정확한 사고신고와 피해구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업무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전담팀도 우정사업본부에 신설, 운영하기로 했다. 이외에도 대포통장 경보제 시행, 금융감독원·타금융기관 등과 정보공유 강화, 매월 대포통장 근절 홍보의 날을 운영할 계획이다.홍만표 청장은 "대포통장 근절 종합대책 시행으로 통장개설 절차가 강화돼 다소 불편할 수 있다"며 "하지만 기존 거래고객에 대해서는 불편을 최소화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