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은 정부가 발표한 내년도 예산안에 대해 "지금은 단기 재정건전성보다 민생경기 회복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며 확정적 예산 편성에 공감했다. 하지만 새정치민주연합이 `재정파탄 무책임 예산`으로 규정하고 "부자 감세 철회없는 서민증세는 반대"라고 밝히면서 향후 국회 논의 과정에서 험로가 예상된다. 정부는 이날 국무회의에서 내년도 예산안을 올해보다 20조원(5.7%) 증액한 376조원으로 편성하는 내용을 의결했으며, 예산안은 오는 23일 국회에 제출될 예정이다. 새누리당 김현숙 대변인은 18일 브리핑을 통해 "새정치연합은 내년 정부 예산안을 재정파탄에 대한 무책임 예산, 복지디폴트 지방에 대한 무대책 예산, 반(反)서민 예산이라고 폄훼했지만 사실 관계와 다르다"고 조목조목 반박했다. 우선 그는 재정 건전성 우려에 대해 "우리 경제는 서서히 가라앉는 배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며 "이런 상황에서 균형재정을 추구한다면 정상적인 국가운용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두 마리 토끼 중 지금은 경기회복에 중점을 둬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재정건전성과 성장 모두 정부가 추구해야 하는 중요한 목표이지만 지금은 단기 재정건전성보다 민생경기회복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며 "세수 확보 역시 경제활성화를 통해 세수 기반을 확대한다면 장기 재정건전성은 선순환 구조를 통해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김 대변인은 `복지디폴트 지방`에 대한 무대책 예산이라는 비판에 대해선 "지난해 12월 복지 지출 증가에 따른 지자체의 재정압박을 완화하기 위해 `중앙-지방 기능 및 재원조정 방안`을 마련해 연 평균 3조2000억원의 재원을 이전해 지방재정 확충에 노력했고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사실상 전체 세수 둔화로 국가와 지자체 모두 재정여건이 어려운 상황에서 지자체가 매년 중앙정부에 예산을 요구할 게 아니라 회계투명성을 강화하고, 불요불급한 예산 구조조정을 통해 재원부족 문제에 대한 자구책을 함께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새누리당은 담뱃값 인상과 관련해 `서민 증세` 비판이 일고 있는데 대해서도 반박했다. 그는 "담뱃값 인상은 국민건강 증진 차원에서 흡연율을 낮추기 위한 것으로 세수 증대는 부수적 효과"라며 "저소득층은 고소득층에 비해 담배가격에 민감하기 때문에 담배값 인상폭이 클수록 수요가 줄고 세부담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서민증세라는 말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김 대변인은 "야당은 정부 예산안을 정략적으로 비난하지 말고 하루 빨리 국회로 들어와 예산안에 대해 건설적인 토론을 해야 한다"고 압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