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비상대책위원장 추천단이 18일 차기 비대위원장으로 문희상 의원을 추천하기까지 상임고문들 사이에서는 친노와 비노 간 신경전이 재현됐던 것으로 알려졌다.추천단은 이날 첫 회의를 갖고 차기 비대위원장 추천 논의에 돌입했지만 상임고문들이 추천하는 후보는 친노와 비노 간 극명하게 엇갈렸다.친노 진영에서는 문희상 의원을, 비노 진영에서는 이석현 부의장을 추천했다. 특히 이날 문 의원이 최종 추천된 데에는 권노갑 고문이 입장을 바꾼 게 결정적 계기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권 고문은 지난 17일 저녁 한 호텔에서 김원기·임채정 고문과 만나 의견을 교환했다고 한다.권 고문은 이날 회의에서 "이석현 부의장도 하지 않겠다고 하니 문희상 의원으로 만장일치로 추대하자"고 제안했다. 그러자 정대철 고문이 "결국 돌고 돌아 친노로 가는 것이냐"고 반대했고, 이런 과정에서 한 때 고문들 사이에 고성이 오가기도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하지만 한명숙 의원이 휴대전화를 꺼내들어 "이석현 의원이 오전에 의원들에게 비대위원장을 하지 않겠다는 문자를 보내왔다. 본인이 하지 않겠다는데 이렇게 시끄럽게 할 필요가 있느냐"고 문 의원을 지지했고, 이 부의장을 지지했던 고문들도 이에 대체로 공감해 결국 문 의원으로 최종 결정됐다는 후문이다. 새정치연합이 만장일치로 결정했다는 발표를 하지 못한 것은 이 때문이었다. 유기홍 수석대변인은 "이견이 있더라도 마지막에 하나로 모아서 (결정)하는 것"이라며 "모두 수용하고 함께 했다는 의미로 봐야 한다"고 밝혔다.특히 새정치연합이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공식화 한 것도 이 같은 계파논란을 잠재우기 위한 것이었다고 한다. 정동영 고문이 "계파해체 권고결의를 하자"고 제안했고, 문재인 의원은 "권고라고 하지 말고 계파해체 결의를 하자"고 찬성했지만 모임의 특성상 결의보다는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방침을 밝히는 게 적절하다는 판단에서다.이날 회의에 참석했던 한 고문은 뉴시스와 통화에서 "2시간 중 절반 이상은 계파 이야기였다"며 "계파논란에 대한 뿌리가 공천의 불공정성에 있는 만큼, 누가 당권을 갖느냐에 따라 공천이 좌지우지되지 않도록 총선 공천에서 오픈프라이머리를 제도화하자는 이야기가 나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