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제출한 내년도 예산안 중 외교·통일 분야 예산은 4조5000억원으로 전체의 1.2% 수준이다.◇대북지원예산 확대 정부가 18일 국무회의를 거쳐 23일까지 국회에 제출할 376조원 규모 내년 예산안 중 외교통일 분야 예산은 올해 예산 4조2142억원에서 2914억원(6.9%) 늘어난 4조5056억원이다. 외교분야 예산은 1441억원 늘었다. 공적개발원조(ODA) 예산은 2조3000억원에서 2조4000억원으로 1000억원 증액된다. 해외 긴급구호 지원 예산은 307억원에서 403억원으로, 유니세프 아동 프로그램 지원 예산은 78조원에서 136억원으로 늘어난다.문화·개발 경험을 외국과 공유해 우호적인 외교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공공외교 역량 강화 사업 예산은 90억원에서 131억원으로 늘어난다.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에 입각한 남북관계 발전을 위해 통일 분야 예산도 1473억원 늘리기로 했다.특히 박근혜 대통령의 `드레스덴 통일구상`을 이행하기 위한 대북 지원 예산이 확대된다.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예산은 430억원에서 781억원으로, 복합농촌단지 조성 등 민생 인프라 구축을 위한 예산이 1344억원에서 2241억원으로 증액된다.◇외교부 예산 역대 최초 2조원 돌파외교부는 그간 숙원이었던 예산 2조원선 돌파를 이번에 최초로 달성했다. 외교부 내년 예산은 2조495억원으로 올해 예산 1조9816억원에 비해 571억원(2.9%) 늘어났다. 국회 예산심의 과정에서 증감이 있을 예정이지만 2조원선을 지킬 수 있을 것이란 게 외교부의 판단이다.외교부는 또 해외출국자 등 재외국민에게 실시간 안전정보와 24시간 긴급상황 통역서비스를 제공할 재외국민안전정보센터를 신설키로 했다. 기존 영사콜센터의 기능을 확대한 재외국민안전정보센터는 재외국민에게 실시간으로 도착지 관련 도착지 안전정보(여행경보 신호등, 범죄동향, 질병 등)를 안내하게 된다.재외국민안전정보센터는 또 긴급상황 발생시 3자 통역서비스를 제공하고 사고대처 요령을 안내할 계획이다. 제공하는 통역서비스도 기존 영어·중국어·일본어에 러시아어·스페인어·프랑스어·아랍어가 추가될 예정이다. 이 사업에 40억여원이 투입될 전망이다.이 밖에 재외공관 행정직원 처우개선 명목으로 17억원이 증액됐다. 대미 공공외교 강화에 41억원이 추가 배정되고 동남아문화원 신설 등에 103억원이 투입된다.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에 12억원,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추진에 31억원, 중견국 협력체 외교에 5억원 등이 증액됐다.이슬람 국가(IS) 사태와 관련한 예산은 외교부에 배정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부 예산 소폭 증가통일부 예산은 올해 2174억원에서 내년 2301억원으로 127억원(5.8%) 증액됐다. 인건비는 377억원, 기본경비는 98억원, 사업비는 1826억원씩이다. 남북협력기금에 대한 정부 출연금은 1200억원으로 올해와 동일하게 편성됐다.통일부 예산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통일정책과 인도적 문제 해결, 통일교육 부문 예산은 늘어난 반면 남북경제협력과 개성공단 지원, 북한정세분석 관리, 남북회담 부문 예산을 줄었다.통일정책 부문에선 통일준비위원회 운영비 등에 신규로 약 45원이 배정됐다. 또 광복 70주년 기념 통일문화주간행사 등 통일문화진흥 부문 예산이 2억1500억원에서 20억원으로 17억8500만원 증액 편성됐다. 평화통일 역사자료 수집·활용에도 신규로 5억원이 편성됐다.인도적 문제해결 부문에선 전시납북 진상규명 및 명예회복 차원에서 전시납북자 기념관 건립에 28억5100만원이 편성됐다.반면 개성공단 지원 부문에선 남북협력지구발전기획단 운영예산이 올해 8억여원에서 5억여원으로 3억원 줄었다. 북한정세분석 관리 차원의 탈북자·방북자 대상 심층정보 수집 예산도 6억3200만원에서 5억2800만원으로 1억400만원 감액 편성됐다. 남북회담 부문에선 판문점 자유의집 시설보수 예산도 5억원 감액됐다.이 밖에 통일부는 탈북청소년 등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일부 신규사업에 예산을 편성했다.탈북 청소년을 위한 대안학교인 여명학교에 운영비 명목으로 신규로 10억1200만원을 지원키로 했다. 서울 중구 남산동에 위치한 여명학교에는 현재 89명이 재학 중이고 학급 수는 7개다.통일부는 또 탈북민 거주지역 주민센터와 지역복지관 등을 북한이탈주민 지역적응센터로 지정해 전문상담사를 상주시키는 데 46억원을 편성했다. 지역적응센터란 용어를 하나센터로 바꾸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정부는 또 지역적응센터의 중추 역할을 할 북한이탈주민 드림센터 건립에 10억원을 신규로 편성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