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김천과 경남 거제를 연결하는 `남부내륙철도’의 해당 지역 출신 국회의원들과 자치단체장들이 조속한 건설을 촉구하고 나섰다. 새누리당 이철우 이완영 조해진 김한표 의원 등 경남북 지역 국회의원을 비롯해 김천시장, 성주군수, 거제시장, 경남 정무부지사 등이 지난 17일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찾아 남부내륙철도의 조기 건설을 강력히 주장했다. `국책사업마다 경제성을 내세워 따진다면 지방은 다 죽는다`며 예비타당성조사에 낙후지역배려가 필요함을 역설했다.남부내륙철도 구축은 현재 정부의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후반기(2016~2020년) 사업으로 예정돼 있다. 그러나 해당 지역에서는 이것을 2011~2015년 사이의 전반기 계획 사업에 넣어 조기 착수해달라고 정부에 줄기차게 건의해 오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최근 정부가 남부내륙철도 조기 건설을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주요 조사항목을 축소하거나 과대평가하는 등 부정적 움직임이 일고 있는 것과 관련, “경제성을 따지면 지방은 다 죽는다“며 경남·북 정치권과 지역 자치단체장들이 ‘정부의 대선공약 이행’을 촉구하기 위해 기재부를 항의 방문한 것이다. 현재 남부내륙권은 철도 사각지대이다. 전국의 모든 교통망이 서울을 향하여 집중돼 있는 국토교통망에서, 경북 김천 고령 성주 및 경남 합천 의령 진주 고성 통영 등 남부내륙과 남해안 지역만 철도교통의 사각지대로 남아 있기에 지역민들이 목마르게 열망해온 사업인 것이다. 정부에서도 바로 이점을 외면할 수 없기 때문에 사업비가 6조 8000억원에 이르는 이 사업을 계획하게 된 것이다. 그런데 시가가 임박하자 경제성만 중시한 나머지 사업계획이 증발될 우려를 맞았으니 좌시할 수 없게 됐다.남부내륙철도 건설은 2012년 대선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공약으로 내세운 것으로 지난해 말부터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 중에 있다. 그런데 최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실시한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사업성을 낮추기 위해 주요 항목을 의도적으로 반영하지 않았거나 항목에 따라 가치를 축소·과대평가했다는 의혹이 불거지면서 배신감마저 조성되고 있는 참이다. 고속철도의 혜택을 받고 있는 시대에 남부내륙만 구시대에 머물러 있으라고 하는 것은 정의롭지 못하다. 낙후지역인 남부내륙은 중부내륙권과 남해안을 연결하는 산업기반인가 하면 관광루트로도 소중한 지역이다. 교통인프라 구축이야말로 균형발전의 지름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