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차기 지도부를 선출하는 전당대회에서 모바일 투표 도입 여부를 놓고 논란을 벌일 조짐이다.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이 최근 일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모바일 투표 도입 여부와 관련, "모바일 투표가 문제 있는 게 아니다. 개표 확인 작업이 까다로운 점 등을 보완한다면 그처럼 간단명료한 게 어디 있느냐"라고 말한 게 단초가 됐다. 모바일 투표는 전당대회 투표권을 일반 국민에게 부여하고 휴대전화로 투표하는 방식이다. 새정치연합의 전신인 민주통합당(민주당) 당시였던 지난 2012년 1·15 전당대회와 6·9 전당대회 때 모바일 투표가 도입된 바 있다. 당시 각각 한명숙·이해찬 전 대표가 모바일 투표에서 우위를 보여 당권을 잡은 바 있다.19대 총선 공천 과정에서 한명숙 전 대표는 모바일 경선을 도입하기도 했지만, 대리투표 등의 각종 잡음이 불거지면서 지난 해 초 문 비대위원장 1기 시절 모바일 투표를 당헌·당규에서 삭제했다.문 위원장이 모바일 투표 도입 가능성을 내비치자, 비노 진영에선 반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비대위에 참여하고 있는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23일 자신의 트위터에 "문 위원장에게 공사석에서 발언을 조심하라는 말씀을 드렸다"며 "(모바일 투표는) 문제 없는 게 아니라 가장 큰 문제이고 특히 비대위에서 논의도 안 됐다. 비대위가 출범하자마자 이런 시비가 시작되면 안 된다"라고 비판했다. 호남 지역의 한 재선 의원도 이날 뉴스1과 통화에서 "당직과 관련해선 당원들에게 좀 더 권리를 보장해 줘야 한다는 게 의원들의 공감대이고, 이에 따라 지난 번 당헌·당규에서 삭제하지 않았느냐"면서 "쓸데 없이 모바일 투표 도입 문제로 당력을 낭비해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이와 달리 친노(친노무현) 진영에선 모바일 투표 도입에 긍정적인 목소리가 나온다.친노 진영의 한 핵심 인사는 "새정치연합이 대중정당으로 가기 위해선 시민들의 참여를 넓혀야 한다"면서 "이는 공직 선거는 물론 당 대표 선거에서도 마찬가지"라고 모바일 투표 찬성론을 폈다. 이와 관련, 이해찬 의원도 문 비대위원장을 추천키로 결정한 비대위원장 추천단 연석회의에서 "당 대표를 당원으로만 뽑으면 안 된다"라고 주장한 바 있다.일단 문재인 의원측은 신중한 입장이다. 문 의원측은 최근 통화에서 "아직 구체적인 입장이 정해진 것은 없다"면서 "당직 선거는 당원들의 의견이 반영돼야 하고, 공직 선거는 본선이 중요하기 때문에 일반 시민들의 의사를 묻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