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지역의 섬유산업 고부가가치화와 섬유기업의 기술력 향상을 위해 설립된 섬유개발연구원(이하 섬개연)이 제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대구시가 섬개연에 예산을 지원하면서도 관리감독체계를 구축하지 않는 등 허술한 관리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10일 대구시의회 경제교통위원회 김원구(대구 달서구·사진)의원에 따르면 지역섬유관련 연구개발과 기업지원업무 수행을 위해 섬개연에 투입된 예산은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간 86억원에 이른다.그러나 2012년 기준 정부 수탁과제는 131건을 받았고, 민간발주 연구사업은 27건에 불과했다.이에 김 의원은 “섬개연의 연구분야가 민간기업에 도움이 되지 않거나 기술력이 일반 기업들에게 외면받을 정도로 낮다고 볼 수밖에 없고, 관에만 기대 생존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실제로 41억원이 투입된 헬스케어용 섬유소재 및 제품개발기술지원사업의 경우 수익관련 성과를 개량적으로 측정조차 하지 못한 상태다.또 3억9000만원이 투입된 아라미드섬유 폐기물의 부직포 제품화를 위한 재활용시스템 개발사업의 경우 2100만원의 성과수익을 올린 것으로 파악됐다.이처럼 섬개연의 지원을 받은 기업들의 매출도 연구에 투입된 예산에 비해 성과가 미미하거나 효과가 측정되지 못한 개발사업이 상당수에 이르는 등 섬개연의 연구결과가 민간 기업들의 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하지 못한다는 것이다.김원구 의원은 “섬개연이 지역 섬유기업들에게 먹거리를 창출해주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연구가 기업지원보다 본인들의 먹거리 창출에 더 치중된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다”며 “대대적인 개혁과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