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급격히 추워지고 기온이 뚝 떨어지면서 어깨통증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가 많아졌다. 이렇게 병원이라도 찾아 진료를 받으면 다행이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깨를 다친 적도 없는데 통증이 나타났다면 괜찮아지겠지 하며 방치하기 마련이다. 특히 요즘 같은 날씨에는 어깨 관절과 근육이 경직돼 어깨통증을 호소하는 사람이 늘고 있는데, 무조건 오십견이라고 생각하기보다는 다른 견관절 질환인 회전근개파열이나 석회성건염일 수도 있으므로 정확한 검사를 통해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어깨통증하면 많은 이들이 떠올리는 오십견. 본래 50대 전후 환자군이 많아 붙여진 병명으로 학문적으로는 동결견 혹은 유착성 관절낭염이라 부르기도 한다. 오십견은 어깨 관절 자체에는 손상이나 이상이 없지만 관절 운동에 있어 지장이 있는 경우만 일반적인 오십견으로 분류한다. 어깨 관절을 둘러싼 관절막이 퇴행성 변화를 일으키며 염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가장 큰 원인은 노화다. 그 밖에 운동부족, 잘못된 자세, 어깨를 과도하게 사용할 경우, 외상 등으로 발생할 수 있다. 대표적인 증상은 어깨통증인데, 이는 다른 어깨질환과 매우 비슷해 혼동하기 쉽다. 질환 초기에는 운동범위가 점차 줄어드는데, 제일 먼저 팔을 뒤로 돌려 올리는 동작에서 문제가 생기고 그 다음에는 옆으로 들어올리는 것, 마지막으로 앞으로 들어올리는 것에 장애가 발생되는 것이 특징이다.  증상이 더욱 심해지면 옆 사람의 옷깃만 스쳐도 심한 통증이 유발된다. 오십견은 치료 없이 1~2년이 지난 후 자연 치유되는 경우도 있어 일상생활의 불편과 통증을 참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환자 스스로 오십견으로만 여기다가 다른 질환이 동반된 사실을 놓치고 더욱 악화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통증과 함께 어깨 운동범위가 전보다 줄었다면 전문의가 있는 가까운 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 오십견은 초기에 치료하면 보존적인 치료만으로 효과를 볼 수 있다. 물리치료, 운동치료, 주사치료, 약물치료 등을 실시해 염증을 가라앉히고 굳어진 관절막을 풀어줄 수 있다. 특히 물리치료의 일종인 체외충격파 치료(ESWT)는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조직회복을 도와 오십견 환자의 관절 운동범위를 회복시킬 수 있다. 박용욱 새움병원 과장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