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8일 박근혜 정권의 경제정책 무능을 강하게 질타했다. 이는 정윤회씨의 국정개입 의혹이 비판적 여론을 타고 있는 가운데 경제정책의 무능론까지 부각시켜 박근혜 정부의 총체적 문제점을 집중 공략하려는 포석으로 읽힌다.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비상대책위원회의를 열고 "만나는 사람 누구나 경제와 경기가 활성화됐다는 사람이 없다"며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현 정권 이후 빚 없던 가구의 30%가 빚이 생기고 60세 이상 중산층 절반이 서민층으로 추락하는 등 경제상황이 악화되고 있다"고 밝혔다.문 위원장은 "참으로 심각한 경제위기 국면이다. 부채주도형, 수출대기업 중심의 경제는 절망적인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며 "최저임금 현실화와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등으로 가계소득의 실질 성장을 보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윤근 원내대표는 "3대 독식 중 하나인 연고독식의 폐해가 금융권을 집어삼켰다"며 "신관치금융시대가 열렸다"고 비판했다.우 원내대표는 "국정은 실세에 흔들리고 금융은 동문이 장악했다"며 "그 근원에는 대통령에게 과도하게 집중된 제왕적 대통령 권력구조가 자리 잡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지원 비대위원은 "현 정권 이후 금융시장 성숙도가 2007년 20위권에서 2014년 아프리카 우간다와 비슷한 80위권으로 추락했다"며 "전 근대적인 인사와 낙하산 인사가 금융 선진화를 망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유기홍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정부가 가계대출 억제책을 검토하고 있지만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 격"이라면서 "가계부채 증가의 원인은 박근혜 정부의 잘못된 경제정책에 있다. `부채 주도 성장 기조`를 유지하며 `빚 권하는 사회`를 바꾸지 않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꼬집었다. 유 수석대변인은 "박근혜 정부는 경제정책 전반을 재검토해 전면 수정해야 한다"며 "무분별한 대출규제 완화를 재고하고 서민과 중산층의 소득을 늘리는 방향으로 전환해야 할 골든타임"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박근혜 대통령은 말로만 경제 살리기를 강조할 것이 아니라 `초이노믹스`의 허상이 밝혀지고 있는 지금 가계부채 위기를 포함한 경제정책 전반을 전면 재검토할 것을 촉구한다"고 압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