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지역 인권단체와 시민단체가 UN이 정한 `세계인권선언의 날(12월10일)`을 앞두고 올해 지역의 `5대 인권(침해)뉴스`를 선정했다.인권운동연대를 비롯한 36개 단체로 구성된 `2014 대구경북 인권주간 조직위원회`는 8일 오전 대구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5대 인권뉴스`와 `인권증진 뉴스` `아쉬운 뉴스` 사례를 발표했다.이들 단체는 지난달 24일부터 3일까지 올 한 해 지역에서 발생한 인권침해 사례 28개를 후보군으로 선정해 인권·시민단체 회원과 활동가, 언론인, 시민 등 460명(5개씩 선택)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했다.`5대 인권뉴스`에는 ▲성희롱, 성추행 일삼는 교장을 진정한 피해교사 16명에게 `경고` 처분한 대구시교육청(192명) ▲고용노동부 `출국 후 퇴직금 수령제` 시행(141명) ▲"고립된 청도 삼평리, 폭력은 노골적이고 비열하게"(161명) ▲칠곡 아동학대 사건, 도 넘은 취재로 피해자가 112 신고까지(128명) ▲"장애인 심리치료·교육시설이 혐오시설?"(252명)이 선정됐다.또 인권증진 뉴스로는 ▲헌법재판소 전원재판부, 야간시위 금지 관련 `한정위헌` 결정 이후 첫 무죄 판결 ▲"우여곡절 끝에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건립공사 시작"이 뽑혔다. 아쉬운 뉴스로는 ▲대구시 인권기본조례 내용과 이행 모두 부실이 선정됐다.조직위는 "올해 대구경북 지역 인권이 전 영역에서 후퇴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5대 인권뉴스로 선정된 사례는 모두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들을 겨냥하고 있었다"고 밝혔다.이어 "지역의 인권침해 사례가 매년 지속적으로 반복되고 일상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점에서 더욱 우려가 크다"며 "그나마 2건을 인권증진 뉴스로 선정할 수 있었던 게 위안이 된다"고 덧붙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