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복업체들의 교복가격 담합 의혹이 올해도 예왜없이 불거졌다. 공정거래위원회가 교복 학교주관 구매제와 관련해 대형 업체들이 담합했다는 의혹을 포착하고 대대적인 조사에 나선 상태다. 관련업체는 해마다 단골로 걸려드는 4대 교육브랜드로 스마트학생복, 아이비클럽, 엘리트, 스쿨룩스 등이다. 학부모들의 부담을 아랑곳 않고 학생들을 잇속의 대상으로 만 생각하는 업체들의 얄팍한 상혼을 보는 것 같아 기가 막힌다. 교복 학교주관 구매제는 학교가 경쟁입찰로 교복 공급업자를 선정해 일괄적으로 구매하는 방식으로, 올해부터 모든 국·공립 중고등학교에서 시행 중이다. 교복제조업자의 폭리와 담합을 막기 위해 1단계 품질검사를 해서 80점 이상을 받는 업체들을 추려낸 뒤 2단계에서 최저가 입찰을 하는 방식이다. 학생들이 싼 가격에 좋은 품질의 교복을 입게 해주겠다는 취지다. 4대 대형 교복업체들은 중소 업체들에게 교복 시장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투찰 가격을 사전에 합의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예를 들어 손해를 보지 않으면서 낙찰 받을 수 있는 수준인 15만원 정도로 교복 가격을 담합하면 자금력이 부족해 16만-17만원에 입찰할 수밖에 없는 중소 업체들이 떨어지도록 만드는 식으로 교복시장을 휘어잡는다. 이런 방식이 계속되면 중소 업체들은 몇 년 안에 도산해 대형 업체들이 시장을 나눠먹으면서 가격을 다시 자신들의 입맛에 맞게 높일 수 있게 된다. 중소 교복업체의 도산은 물론 전국의 수많은 학부모들이 그들의 밥이 되어 고통을 당한다.제도가 바뀌자 대형 업체들도 민첩하게 대응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즉 학교주관 구매제도의 허점을 악용해 중소 업체들의 사업활동을 방해했다는 의혹이 일고 있다. 공정거래위의 폭넓은 조사로 담합과 전횡을 뿌리를 뽑아야 한다. 교복 담합은 대구도 에외 없이 기승스럽다. 올해의 경우는 당국의 조사를 기다려 봐야 하겠지만 지난해는 2월과 7월에 지금 조사대상이 된 4개 대형업체가 모두 관련됐다. 이들 업체가 전국을 주름잡고 있는 것이다. 학생들을 돈벌이의 대상으로 삼아 폭리를 일삼는 악덕업자들을 척결해야 한다. 시중에 판매되는 교복값은 학부모들에게는 부담이 너무 크므로 업체의 횡포가 발붙이지 못하도록 구체적 보완책을 내놔야 할 것이다. 가급적이면 교복 물려주기나 재활용을 이용하는 건전한 풍토를 확산시켜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