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여가문화 확산에 따른 캠핑장 이용자가 증가하면서 캠핑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난 및 사고 가능성 역시 높아지고 있지만 대구·경북 캠핑장 60%가 무등록인 것으로 나타나 시민들의 안전이 방치되고 있다.지난 3월 22일 화재로 텐트가 전소되면서 야영 중이던 두 가족 캠핑객이 사망하는 참극이 발생했고 앞서 14일에도 경기도 양평군 캠핑장에서 텐트 안 석유 난로 폭발로 어린이 2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정부는 지난해 10월 관광진흥법 시행령을 개정해 전국 모든 야영장을 관광사업자로 등록해 관리하겠다는 방침을 세웠지만 시행령에 따른 캠핑장 등록유예 시한인 올해 8월3일이 지나도록 미등록 캠핑장이 넘쳐나고 있다.11일 새누리당 윤재옥 의원(대구 달서을)이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캠핑장 등록현황(8월3일 기준)’에 따르면 대구의 15곳 캠핑장 가운데 등록을 한 곳은 5개에 불과했다.경북에서도 전체 153곳의 캠핑장 가운데 등록을 한 곳은 86곳에 불과했고 122곳은 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대구·경북 전체 223곳의 캠핑장 가운데 무려 59.2%에 달하는 132곳이 무등록이었다. 이처럼 미등록 캠핑장이 많은 것은 시행령에 무등록에 대한 제재나 벌칙 등이 마련되지 않아 유명무실한데도 불구하고 정작 이를 책임지고 관리해야할 정부가 법적 제도적 안전장치 마련에 소극적이란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