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로 50대에 접어든 김주영(북구 산격동 거주)씨는 지난 1월 담뱃값 인상에 따른 부담과 와이프의 성화, 건강 등을 이유로 금연을 결심했지만 3달을 넘기지 못했다. 한 달 동안은 금단현상을 버티는가 했지만 업무의 스트레스, 술자리 등으로 끝내 회사 인근에 있는 슈퍼마켓을 찾게 됐다. 정부가 금연을 내세우며 등산, 헬스 등 여러 방법들도 제시했지만 김씨에겐 무의미했다. 회사가 주말까지 특근으로 이어지고 있어 김씨에겐 ‘언감생심’에 불과했던 것.김씨는 “보건소에 금연클리닉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시간적 여유가 없는데다 사회적분위기가 금연과는 거리가 멀어 그냥 금연을 포기했다”며 “정부가 정말 국민의 건강을 위해 금연정책을 폈다면 이에 따른 완벽한 대안도 내놨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것 같아 실망스럽다”고 말했다.1월 1일부터 담뱃값 인상과 금연구역 확대 등 정부의 금연 정책에 힘입어 보건소 금연클리닉을 찾은 흡연자들이 올해 초에는 전년도보다 큰 폭으로 늘었지만, 9개월여 만에 그 수가 현저하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19일 대구시의 ‘보건소 금연 등록 현황’에 따르면 지난 7월 2만3933명에 달했던 금연클리닉 등록자들이 8월 2만2619명, 9월 2만1442명으로 매월 1000여명 이상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2005년 시작된 ‘보건소 금연클리닉’은 금연을 원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전국에 있는 보건소를 방문해 생활 습관 및 니코틴 의존도를 상담하고 금연 계획을 세우도록 하는 제도다. 등록자에 대해서는 6개월 동안 9차례 상담사가 전화나 면담을 통해 흡연욕구를 억제시키고 금단증상을 관리한다. 처음 세 달 동안은 무료로 금연패치 등 금연보조제도 지급한다.하지만 일각에선 이런 제도들이 사실상 직장인들에게는 무의미한 것과 다를 게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맞벌이 세대가 많은 요즘 시간을 내 보건소를 찾기가 어려울뿐더러 업무의 스트레스를 풀만한 것도 마땅히 없기 때문이다. 더욱이 직장에서 술자리 등도 빈번해 담배의 유혹을 뿌리치기엔 무리가 있다.이에 대해 한 금연단체 관계자는 “금연클리닉 등록은 최초 금연에 도움이 되겠지만 기간이 정해져 있어 끊임없는 흡연 욕구를 막기에는 역부족이다”며 “미국이나 일본처럼 금연보조제에 대한 보험급여 지급을 보편화하고, 값싼 면세 담배 공급을 줄여나가는 등 근본적으로 사회가 금연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