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에게서 가장 흔한 문제 가운데 하나가 설사다.하루나 이틀 정도 지속되는 단순한 설사 때는 가정에 비치한 강아지 전용 약을 먹이면 금방 멎게 된다. 그러나 토하려고 안간힘을 쓰거나 열, 복통, 곱똥, 혈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동물의사를 찾는 게 좋다.가정에서 항생제를 잘못 먹여 설사를 하기도 하는데 이때는 항생제로 인한 락토스 기능 억제가 설사의 원인이 된다. 어린 강아지의 경우 돼지고기, 닭고기 등 지방이 많은 음식이나 우유, 쥐포, 오징어 등을 먹이는 것은 금해야 한다. 설사의 원인이 된다. 또한 주변 환경을 청결하게 해주어 아무것이나 주워 먹지 못하게 하고 정기적인 기생충 구충을 해줘야 한다. 너무 뜨겁거나 찬 음식도 설사를 일으킬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설사를 하는 강아지는 우선 한 두 끼 밥을 굶겨주며, 탈수가 심한 경우라면 보리차에 설탕을 가미한 물을 조금씩 자주 공급해 줘야 한다. 그래도 계속 설사하는 개는 동물병원에 의뢰하여 혈액 검사, 변 검사, 소변 검사, X레이, 시암, 초음파, 내시경 검사 등으로 그 원인을 알아 치료해야 한다.탈수가 심한 경우엔 하트만 등 수액 주사로 보충해 주며, 설사가 유달리 잦은 개라면 분변에 대한 정확한 검사부터 해볼 일이다.개에게도 컨디션에 따라 약간의 식욕 변화가 올 수 있다.성견의 경우, 겉으로 아무 이상이 없어 보이는데도 한 두 끼니 밥을 먹지 않는다면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대부분의 질병 초기에는 식욕 부진 증상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식욕 부진 증세가 나타나면 일단 개의 체온을 재어 보아야 한다. 만일 열이 높을 경우엔 동물의사에게 즉시 의뢰해야 하며 눈곱이나 설사, 그리고 코에 이상은 없는지 자세히 살펴봐야 한다.식욕이 부진한 녀석들에겐 동물의사 처방식 a/d(힐스), p/d, 리커버리(로얄캐닌)나 터키앤치킨(에보), 스타터퍼피(로얄캐닌), 엔터러케어KC(한국네슬레), 뉴트리칼, 인, 애견전용 우유 등을 먹이면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