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의 지진방재대책이 도민의 안전을 무시한 단순히 보여주기식 대책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다.경주지진이 발생한 지 2년이 지났지만 도가 도내 주요시설물 내진성능 확보를 외면하고 있기 때문이다.16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임종성(경기광주을) 의원이 경북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경북 내 내진보강이 필요한 주요시설물은 총 2353곳이다. 내진비율은 39.4%에 불과하다.하지만 2016년 9월 발생한 경주지진 이후 지난 2년간 도가 내진보강을 완료한 주요시설물은 59곳(2.5%)에 불과하다.올해 보강계획은 건축물 41곳, 교량 7곳, 수도 1곳 등에 166억원을 투입한다.내진보강을 위한 성능평가는 건축물 107곳, 교량 255곳, 수도 4곳만 진행하고 있어 도내 주요시설물의 내진확보는 속도를 내지 못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경북도는 이 같은 상황에도  주요업무보고 등 자료를 통해 지진방재 종합대책 제1과제와 제2과제를 국립지진방재연구원 설립, 국가방재교육공원 조성으로 지정하고 국비 3000억원을 국회에 요구했다.경북도의 내진 대상 건축물의 내진확보비율 또한 전국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경북도내 건축물 중 내진설계 대상 건축물은 총 62만1273동이다.하지만 이 중 내진설계가 확보된 건축물은 4만1955동으로 내진비율은 6.8%에 불과하다. 이는 전국 평균(11.3%)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치다.내진설계가 돼 있어도 지진에 취약할 수 있는 필로티 건축물의 경우 총 1만8979동 중 3818동이 내진설계조차 안됐다.임종성 의원은 “경북은 전국에서 지진피해가 가장 컸던 지역이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는 주요시설물의 내진성능 확보에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이어 “도는 지진방재대책으로 연구원 설립과 교육시설 설립으로 돼 있다”며 “도는 실적보다 도민안전에 정책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꼬집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