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지역 공공 하·폐수처리시설 및 폐수배출사업장 4곳의 수질오염도 측정자료가 조작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이사실은 17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문진국 의원(사진·자유한국당·비례대표)의 국정감사 자료에서 확인됐다.국내 하·폐수처리시설과 폐수배출사업장에 설치된 수질오염도 실시간 원격감시시스템 ‘수질 TMS’가 관측자료 고의 조작 및 비정상자료 생성 등 운영상 문제점을 드러냈다.지난 1∼8월 사이 8개월간 하·폐수처리시설, 폐수배출사업장 직원들이 측정기기 관리·감시를 위해 하루 평균 2시간 이상 측정소 문을 열고 드나든 것으로 드러난 상위 20곳 가운데 4곳이 대구와 경북 소재로 나타났다.문 의원 측은 이들 ‘문 열림 과다사업장’에서 측정자료 고치기, 비정상자료에 대한 대체자료 생성 등 지침상 관리기준 부재를 악용한 사례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이 중 대구 신천 하수처리장의 문 열림 시간은 총 625시간으로 하루 평균 2.6시간, 청송하수처리장은 총 821시간으로 하루 평균 3.4시간으로 조사됐다.청송 진보하수처리장은 총 606시간으로 하루 평균 2.5시간, 경산하수처리장도 591시간으로 평균 2.4시간을 기록했다.지난해 부터 올해 8월까지 점검시간 과다사업장으로 분류된 20곳 중 7곳이 영남권에 있고 이 중 포항 ‘피워터스’ 폐수배출사업장 점검시간은 총 2276시간이었다.환경부는 최근 6년간 수질 TMS 운영과 관련해 측정기기 조작 29건을 적발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조작 전력이 있는 사업장과 출입·점검 이력 과다사업장 20곳에 폐쇄회로(CC)TV를 설치한다.문 의원은 “수질 측정자료 고의 조작을 방지하려는 제도개선 노력에도 불구하고 시료 희석, 부대장비 고의조작 등이 관리 사각지대에 놓였다”며 “환경 당국은 수질 TMS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관리 및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