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당국이 구미 국가산업단지에서 배출되는 유해화학물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 놓고도 방치해온 것으로 밝혀졌다.국회 환경노동위 소속 자유한국당 강효상 의원은 18일 대구환경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구미산단 화학물질 통합관리시스템이 정상 가동됐으면 대구 수돗물 사태를 예방할 수 있었다”고 지적했다.강 의원에 따르면 2013년 10월 16일 대구환경청과 구미상공회의소, 대구녹색환경지원센터가 `구미지역의 화학물질 유출사고를 예방하고 대응을 강화한다`며 구미산단 화학물질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협약을 맺었다.2012년 구미공단의 불산 누출사고 등 유해화학물질 사고가 잇따르자 화학물질 취급시설을 3차원 지도로 구현해 대구환경청과 구미상의가 화학물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사고가 나면 피해 방지와 대응에 필요한 조치에 나서는 내용이다.강 의원은 “4억1000만원을 들여 시스템을 구축했지만 2015년 초 이후 그대로 방치돼 사실상 사장(死藏)된 상태”라며 “구미상의는 아직도 월 10만원씩 인터넷 사용료를 꼬박꼬박 내고 있다”고 비판했다.이 시스템이 정당 가동됐으면 지난 5월 대구 수돗물 사태를 일으킨 유해화학물질 사용업체와 배출량을 조기에 파악해 저감 조치를 취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지난 5월 낙동강 수계에서 검출된 기준치 이상의 과불화헥산술폰산(PFHxS)은 구미공단에서 지난해 하반기부터 1년 넘게 배출됐다.강 의원은 “대구환경청이 정부 3.0의 민·관 협치에 부합하는 전형적인 사례가 될 것이라며 보도자료까지 내고 자화자찬했던 사업이 결국 보여주식 쇼에 불과했다”고 비판했다.강 의원의 지적에 대해 대구환경청은 “오는 25일 전문가·사업자 합동회의를 갖고 대책을 논의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