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일 경주 양남면 월성원자력본부에서 열린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의 국정감사 현장시찰에서 지역 목소리를 전달하기 위해 참석한 환경운동연합 대표와 주민 대표 간 의견이 첨예하게 엇갈렸다.또 정재훈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은 원전산업이 축소되더라도 한수원 직원의 구조조정은 물론 협력업체에는 피해가 전혀 없을 것이라고 했다. 월성1호기 수명연장을 반대했던 김익중 경주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는 “1호기 폐쇄는 불법 수명연장이었기에 ‘조기’라는 표현이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수원은 모르지만, 주민들이 피해를 본 것도 사실 없다. 지역지원금 때문이라고 하는데 그것은 주민들에게 들어가는 돈이 아니다”면서 “한수원 지원 없이는 못 사는 것처럼 비친 것을 오히려 일부 시민들은 자존심 상해한다”고 했다.하지만 신수철 월성원전 주변 동경주지역 주민 대표는 “전 산업부장관이 방문해서 지역민들의 의견을 반영하겠다고 했으나, 한 달도 안 돼 조기폐쇄를 결정했다”면서 “1호기 조기폐쇄에 따라 지원금이 400억~500억원 정도가 감소되고, 지역상권이 무너지면서 민민간의 찬반갈등도 심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김승환 경주시의원은 “발전소가 건설될 당시 주변 땅값이 평당 200만원 이상 했으나, 조기폐쇄가 결정되자 지가는 물론 모든 상권이 무너졌는데 주민들에게 피해가 없다는 것은 현장 상황을 모르는 터무니 없는 발언”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정재훈 사장은 “월성1호기와 관련해서 단 한 개의 협력업체와 한 명의 직원도 줄어들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피해는 없을 것”이라면서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직원들을 배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자유한국당 박맹우(울산남구을) 의원은 “가능성이 없는 허무맹랑한 답”이라며 목소리를 높였고, 김병기 한수원 노조위원장도 “보고된 3000명보다 더 많은 4000~5000명 정도가 구조조정이 될 것이기 때문에 믿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한편 이날 홍일표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장이 지자체를 대표하는 발언을 경주시측에 요청했으나 시 측은 발언대에 서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