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촌공사가 김천시 개령면 광천리 등 5개 마을(이하 광천지구)에 다목적농촌용수 개발사업을 추진하면서 토지 보상금을 놓고 일부 토지주들이 반발하고 있다.지난 19일 농어촌공사 구미·김천지사에 따르면  최근 광천지구 다목적농촌용수 개발사업을 위해 토지주들에게 동의를 구하는 협조문을 보냈다.그러나 토지 보상을 위한 ‘보상협의체’에 전·답 소유주들 참여시키고 임야 소유주를 제외하자 임야 소유주들이 반발하고 나섰다.김천시 개령면 남전리에 1500여평의 임야를 소유하고 있는 A씨(64)는 “2년 전 임야를 평당 4만원에 매입했는데, 농어촌공사가 2만원에 내놓으라고 한다”며 “실거래 가격이 있는데 정부가 마음대로 재산을 침해하려 든다”고 주장했다.그는 “감정평가사가 실거래 가격 등을 반영해 제대로 평가할 것이라는 농어촌공사의 말을 믿었으나, 정작 제시된 가격은 매입 가격의 절반 수준”이라며 “감정평가사들이 해당 지번에 대한 ‘토지거래 내역 신고서’를 확인했는지 모르겠다”고 분개했다.농어촌공사의 다목적농촌용수 개발사업은 임야에 유효저수량 100만톤의 저수지를 만든 뒤 인근 감천에 양수장을 설치하고 물을 퍼올려 용수부족지역에 농업용수로 공급하려는 것이다.오는 2025년 완공 예정인 광천지구 다목적농촌용수 개발사업에는 381억원의 국고가 투입된다.14년 전인 2004년 기본조사를 실시했으며 지난 3월 시행계획 승인이 난 이 사업의 편익비용비율(B/C)은 당초 0.77%였지만 농어촌공사는 8.0%였던 장기 이자율을 5.5%로 조정해 B/C를 1.09%로 높였다.농민들은 “농업용수가 부족하지도 않는 지역에 400억원 가까이 들여 왜 저수지를 만들려 하는지 이해가 안된다”며 “3.2km나 떨어진 곳에서 양수기로 물을 퍼올려 공급하려는 것은 세금 낭비”라고 주장하고 있다.대상지에서 농사를 짓고 있는 B씨(69)는 “논자리마다 관정이 있어 논밭에 물이 넘친다. 여기는 농업용수를 추가로 확보할 필요가 없는 곳”이라고 했다.이에 대해 농어촌공사 측은 “만성 물부족 국가인 우리나라의 안정적인 물 확보를 위해 100년을 내다보고 하는 것”이라며 “사업이 완료되면 해당지역 농민들에게 농업용수를 무상으로 제공해 농가 소득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토지 보상금에 대해 농어촌공사 구미·김천지사 관계자는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보상법 등 법과 지침에 따라 보상할 수 밖에 없다. 보상가에 동의하지 않으면 이의신청 등을 할 수 있다”며 원론적인 입장을 내놨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