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은 21일 막바지 국정감사를 앞둔 가운데 한국당 등 야권의 분발을 촉구하고 나선 반면, 자유한국당은 북한의 비핵화 평화구축을 위한 국제사회 공조를 확고히 해줄 것을 주문했다.더불어민주당 박경미 원내대변인은 이날 오전 현안 서면 브리핑을 통해 “국정감사가 후반전에 돌입했다”며 “일주일여 남은 국정감사, 제1야당 자유한국당의 분발을 바란다”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그러나, 야당의 존재 이유이자 실력 발휘의 장이 되어야 할 2018년 국정감사의 핫이슈는 단연 제1야당도, 제2야당도 아닌 우리당 박용진 의원이 터뜨린 비리 사립유치원 건”이라고 했다. 이어”사립유치원의 각종 비리가 공개되면서 자녀를 키우는 부모들의 원성이 하늘을 찌르고 있다”며 “정부여당은 아이들과 부모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사립유치원의 해묵은 문제를 풀고 운영을 정상화하기 위해 대책 마련에 머리를 맞대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이삭줍기에라도 나서야 할 자유한국당 등 일부 야당들은 비리 사립유치원 건에 대해서는 유독 일언반구도 없다”며 “그저 아직 그 실체를 알 수 없는 서울시교통공사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과정의 채용비리 의혹을 국정조사 해야 한다는 요구에 올인 하는 모습”이라고 비판했다. 박 대변인은 “기왕 정기국회 국정감사의 장이 펼쳐졌으니, 이를 통해 충분히 문제제기를 하고 차후에도 풀리지 않는 의혹이 있다면 국정조사를 요구할 일이지, 진행 중인 국정감사를 파행으로 만들면서 정쟁의 소용돌이로 끌고 들어가는 것이 제1야당의 실력인지 묻고 싶다”고 반문했다. 그는 또 “더욱이 정작 국정조사가 필요한 사안은 박근혜 정부 양승태 대법원이 저지른 사법농단”이라며 “만인 앞에 평등해야할 법이 박근혜 청와대 권력 유지를 위해 어떻게 동원되었는지, 그 과정에서 ‘입 속의 혀’와 같았던 양승태 대법원이 법을 얼마나 짓밟았는지 밝혀져야 할 일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고 꼬집었다.박 대변인은 “이제 일주일여 남짓 남은 국정감사 기간, 야당으로서는 1분 1초의 시간도 아쉬워해야 할 국정감사건만,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은 이렇다할 한 방은 커녕 이제 막 감사원 감사가 접수된 서울교통공사 건으로 일주일의 시간을 흘려보낼 것인지, 지켜보는 국민들은 물론 여당으로서도 안타깝기 그지없다”고 거듭 지적했다. 반면 자유한국당 윤석영 수석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북한 비핵화와 한반도의 평화구축을 위한 국제공조의 틀을 확고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그는 “문재인 대통령의 7박 9일 유럽순방이 오늘 마무리된다”며 “유럽 정상들과 만남, 아셈정상회의를 통해 대북제재를 통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아시아와 유럽국가들의 입장을 확인했다”고 밝혔다.이어 “미국 백악관 존 볼튼 국가안보보좌관도 다음주 러시아 방문에서 대북제재 완화는 북한의 비핵화 이전에는 불가하다는 의견을 전달할 것이라고 한다”면서 “ 미국도 아시아·유럽국가와 같은 입장을 취하고 있다”고 했다.그러면서 “유럽방문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성급한 대북제재 완화 주장은 효과가 없었고, 우리나라가 북한 입장을 대변해서 대북제재 국제공조를 이완시키려고 시도한다는 인상만 심어줬다”며 “북한 비핵화는 우리 힘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이며, 확고한 국제공조를 통해서 가능하다. 더구나 우리나라는 북핵의 직접 당사자로서 ‘대북제재를 통한 북한 비핵화’를 주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또한 “남북간 경협문제도 북한 비핵화 속도와 보조를 맞춰야 한다”며 “국민 동의도 국회 협의도 없는 일방적인 추진은 결코 성공할 수 없다. 확고한 국제공조 틀 위에서 남북문제를 풀어가야 한다”고 촉구했다.그는 “정부는 성과도 없는 남북문제에만 몰두하여 고용참사, 분배실패, 기업투자 침체 등 국내 경제위기에 소홀히 한다는 지적에도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