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 있는 독립운동 관련 주요 사적지 중 절반 가량이 현충시설 지정은커녕 보존·관리조차 소홀해 사실상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정태옥 의원은 24일 국가보훈처로부터 제출받은 ‘국내 독립운동사적지 일반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국내 주요 독립운동 사적지는 독립기념관이 역사적 가치와 교육적 중요성을 인정한 곳이다. 하지만 이들 시설에 대한 보훈처의 최근 8년간 현충시설 지정율은 56.3%에 그치고, 안내판이나 표지석 조차 설치되지 않은 곳도 부지기수인 것으로 확인됐다.정 의원은 “이런 결과물은 독립기념관이 2007~2010년 실시한 국내 독립운동 사적지 전수 조사에 대한 국가보훈처의 현충시설 승격 지정 등 최근 8년간의 후속 조치 점검에서 드러났다”고 설명했다.독립기념관의 국내 독립운동 사적지 전수 조사는 광복이후 첫 실시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당시 전수 조사결과 전체 대상 1344곳 중 원형 보존 및 기(旣) 복원 사적지는 76곳과 55곳에 그친 반면 변형, 멸실, 훼손된 사적지는 각각 495곳, 713곳, 5곳에 달했다. 원형보존과 사적지 복원이 전체의 10%도 안 되는 것이다.독립기념관은 이를 토대로 보존 가치가 높다고 인정되는 상위 A등급 독립운동 사적지 268곳(상위 20%)에 대해 원형보존과 개보수 등 철저한 보존·관리 필요성을 제안했고 당시 보훈처는 이를 받아들였다. 보훈처는 해당 사적지에 대해 현충시설심의위원회에 직권 회부하는 등 현충시설 승격 지정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다.하지만 8년 전 전수 조사 이후 지난 8월말 기준 당시 A등급 분류 사적지 268곳 중 현충시설로 승격 지정된 사적지는 151곳(56.3%)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나머지 117곳 중 안내판이나 표지석이 설치돼 있지 않은 사적지는 68곳에 달했다. 독립기념관이 원형복원 필요성을 제안한 사적지 9곳 중 보훈처가 실제로 복원한 것은 3곳에 불과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