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국회의원들이 25일 경북도에 대한 국감을 펼쳤다. 의원들은 경북도 행정의 허점을 날카롭게 파고들며 송곳질문을 던졌다.맨먼저 질문자로 나선 김영호(더불어민주당·서울서대문 을) 의원은 새마을세계화재단 대표이사들의 ‘호화 출장’ 등을 문제삼았다.김 의원은 “재단 대표이사들이 해외 출장 때 비즈니스석을 이용하는 것은 재단의 설립취지에 맞지 않는다. 또 현지 물가보다 훨씬 비싼 음식과 숙박비를 책정했으며 해외사무소 8곳에도 직원 인건비를 빼고도 연간 8억원이나 지출하고 있고 업무추진비도 현금으로 지급하고 있다”며 방만한 경영을 지적했다. 이와 함께 김 의원은 “재단이 제출한 실적보고서에서 연도별 사진이 똑같다”며 자료의 신뢰성에도 의문을 제기했다.이에 대해 이철우 지사는 “이같은 사실을 처음 알았다”며 “집중감사를 해 사실이면 용납하지 않겠다”고 답했다.이진복(자유한국당·부산 동래) 의원은 경북도내에서 태양광 발전시설이 숲을 무분별하게 해치며 난립하고 있는 점을 지적했고, 이재정(더불어민주당 비례) 의원은 지진이 잦은 경북도의 민간건물 내진율이 다른 시도보다 낮다고 꼬집었다.조원진(대한애국당·대구 달서 병) 의원은 “현정부 들어 국비지원액이 대구와 경북만 줄었다. 인구비율로 계산하면 내년도 경북 국비지원액은 전남의 절반밖에 되지 않는다. 특히 SOC예산이 많이 줄어 2016년 경북도 예산은 SOC가 18%였으나 내년에는 9.2%밖에 되지 않는다”며 “대구 경북이 인사뿐 아니라 예산에서도 모두 ‘패싱’됐다”고 밝혔다.조 의원은 또 “신한울 3, 4호기 건설이 백지화되면 경북과 지자체의 세수가 최대 1조4716억원의 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문재인 정권이 정치적 목적에 함몰돼 탈원전 정책을 고집해 경북과 대한민국 경제를 파탄내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홍문표(자유한국당·충남 예산·홍성) 의원은 “1970~80년대 대한민국의 경제성장을 이끌었던 경북의 경제가 동력을 상실하고 2016년 기준 자영업 폐업률 전국 1위, 전국 상업용 빌딩 공실률 1위라는 초라한 성적표를 개선해 나가기 위한 특단이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내년도 경북 예산이 올해대비 839억원이나 줄어들었다”며 탈원전 정책으로 인한 천문학적인 피해와 함께 경북의 심각한 경제 상황을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