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최근 발표된 혁신성장 및 일자리 관련 대책이 현재의 고용 상황에서 할 수 있는 중단기 대책이라고 밝혔다. 또 그간 펼쳐 온 정책의 성과가 좋은 성과를 내지 못한 데 대한 비판을 겸허히 받아들이겠다고도 말했다.김 부총리는 2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 참석, 서형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답하는 과정에서 “(이번 정책엔) 기존 정책의 일부 전환 또는 추동력을 붙이는 내용이 상당히 담겨 있다”고 말했다.김 부총리는 “경제 정책의 종합적 완결판은 오는 12월에 내는 경제정책방향”이라며 “이번에 발표한 것은 현재의 고용 상황에서 할 수 있는 중·단기 대책들이라 이해해주셨으면 한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이번 정책이 청와대 정책실장이나 경제수석과 충분히 논의됐고 청와대에서도 동의한 내용임을 강조했다.김 부총리는 “최저임금이나 근로시간 단축 등 소득주도성장이 수요 측면에서의 일자리 정책이라면 기업들의 투자를 늘리기 위한 규제 개혁 등 이번 대책은 공급 측면의 것”이라며 “이번 대책은 공급 측면에 상당히 역점을 많이 뒀다”고 부연했다.이에 서 의원이 ‘정책 기조가 바뀐 거냐’고 재차 묻자 “공급 측면에선 바뀌었다. 관계부처 장관들, 그리고 청와대와 치열히 토론했다”고 답했다.한편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 성과에 국민들의 부정평가가 많다는 지적에 대해 김 부총리는 “경제성과에서 아주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고 비판은 겸허히 수용한다”고 말했다. 자유한국당 윤영석 의원은 지난 19일 발표된 한국갤럽의 여론조사 결과를 인용하며 “부정평가의 47%가 ‘경제·민생 문제 해결 부족’이라고 꼽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김 부총리는 “비판이나 설문결과에 대해 겸허하게 수용한다”며 “미흡하지만 최선을 다 하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