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전기협회의 도덕적 해이와 방만 경영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국민의 혈세와 한전 및 한수원 등 한전의 발전자회사가 내는 회비로 운영되는 전기협회가 비영리 법인임에도 영리 활동을 하고 골프장 회원권을 구입하거나 학자금 지원도 별도 규정없이 무분별하게 지원해왔다는 내용이다.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조배숙 민주평화당 의원은 29일 전기협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토대로 이같이 주장했다.조 의원에 따르면 전기협회는 산업통상자원부에 등록된 비영리 법인으로 매년 산업부에 사업계획과 사업실적을 보고하고 있다. 또 매년 산업부의 전력기금 등 수십억원의 예산이 지원된다.하지만 전기협회는 영리활동을 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수도권의 한 골프장 회원권을 구매했다가 국정감사 기간 지적받자 지난 18일 매각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조 의원은 전했다.조 의원은 또 전기협회가 직원들의 자녀 학자금 지원을 별도 규정 없이 시행하면서 2016년 한 해에만 학자금으로 1960만원을 지원했으며 감사실장도 기획처장이 겸임하는 바람에 사실상 감사 시스템이 없이 운영돼왔다고 주장했다.아울러 전기협회의 공문서 위조 의혹까지 나온다고 조 의원은 전했다. 전기협회가 2016년 4월 지속가능전력정책연합에 대한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20여개 단체 및 학회에 공문을 보내면서 ‘지속가능정책연합의 발족 및 운영을 산업부 전력산업과와 협의한 사안’이라고 밝혔으나 실제 산업부는 이에 관해 전기협회와 협의하지 않았다고 밝힌 데 따른 것이다.조 의원은 전기협회가 수행하고 있는 KEPIC(한국전력산업기술기준, Korea Electric Power Industry Code) 사업도 전기협회의 수익 창출 수단으로 전락했다고 비판했다. KEPIC은 전기협회가 정부의 전력산업기반기금과 한전 및 한수원 등 한전 발전자회사들의 지원을 받아 개발한 것인데, 이것이 엄연히 공공재임에도 전기협회가 이를 본인들의 수익 창출 도구로 삼고 있다는 것이다.실제로 전기협회는 지난 2016년부터 KEPIC e-book을 서비스하며 한전과 한전 자회사, 두산중공업 등 민간기업에 올 10월까지 28억원의 판매 수익을 올렸다고 조 의원은 전했다.지속가능전력정책연합 사무처의 예산낭비가 심각한 수준이라는 지적도 있었다. 사무처는 전기협회 직원들이 겸직하는 것으로 운영됐는데 실제 상근 인원이 1명에 불과했음에도 사무실 리모델링 비용으로 4000만원을 집행하고 정책연합 사무총장의 재떨이까지 사무용품비로 사는 등 예산 낭비가 심각한 수준이라는 지적이다.조 의원은 “산업부는 대한전기협회의 사무에 대한 검사와 감독 의무가 있음에도 사실상 손을 놓고 있던 것으로 밝혀졌다”며 “산업부의 관리·감독 부실에 대한 책임론도 제기된다”고 강조했다.조 의원은 “산업부가 최근 10년 간 전기협회에 지원한 예산이 무려 489억원에 이르고 있는데도 관리 및 감독은 대단히 부실했다”며 “전기협회의 도덕적 해이와 방만 경영, 그리고 산업부의 관리·감독 부실 문제에 대한 감사원 감사를 통해 시급히 밝혀야 한다”고 덧붙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