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환경운동연합이 경주시 양남면 월성원자력발전소 배후 사면의 산사태 가능성을 제기하며 이에 대한 민·관 합동조사를 요구했다. 환경운동연합은 30일 성명서를 통해 “월성원전의 배후 사면붕괴 또는 산사태 위험성이 오래전부터 제기돼 왔으나 별다른 조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면서 “만약에 사면이 붕괴하면 이곳을 지나는 송전탑이 함께 무너지고, 원자로 냉각을 위한 소외전력 상실로 후쿠시마 참사와 같은 초대형 재난이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태풍으로 도로가 솟아오른 한수원 본사 앞 국도 4호선과는 월성원전이 약 10km 떨어져 있다”고 전제하고 “이곳의 토질이 집중호우 등에 매우 취약한 것이 다시금 확인됐고, 월성원전도 산사태 지점과 같은 토함산 자락에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 6일 태풍 ‘콩레이’로 한수원 본사 앞 토함산 일대에는 300mm 이상의 집중호우가 내렸고, 이로 인해 산이 도로 쪽으로 밀려나고 토사가 대규모로 흘러내리면서 도로는 산처럼 융기하고 끊어지는 등 초대형 지진 피해와 흡사한 현상을 나타냈다. 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경주지역의 산사태 취약지역은 총 29곳이며 이 중 12곳이 월성원전 반경 6km 안에 있다. 특히 취약지역 12곳은 월성원전과 지난 6일 산사태 발생지점을 연결한 축선에 놓여 있다. 한편 월성원전 배후 사면에 대한 문제제기는 2015년에 보고된 ‘월성1호기 스트레스테스트 검증보고서’에도 나타나 있다. 이상홍 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보고서는 월성원전 배후 사면이 시공 후 상당 기간이 경과했고, 안전성과 저감설비에 대한 대책 필요성이 있다고 밝히고 있다”고 했다. 검증보고서에는 사면붕괴 저감설비의 기한이 종료돼 지진과 강우에 의한 복합 재난 시 산사태와 토석류 발생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고, 그동안 안정성 분석을 실시한 자료들이 없다고 밝히고 있다.이상홍 사무국장은 “지금까지 원전부지의 안정성은 활성단층과 암반에 초점이 맞춰졌으나, 산사태에 취약한 토질에 의한 재난 위험에 새롭게 주목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