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1일 내년도 예산안 심사에 대한 초당적 협력을 구하는 문재인 대통령의 국회 시정연설에 대해 극명한 온도차를 보였다.더불어민주당과 민주평화당, 정의당 등 범진보 진영은 “적극 공감”, “시의적절”이라며 환영한 반면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 등 범보수 진영은 “통탄”, “실망” 등의 표현으로 맹비난했다.이해식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문 대통령은 우리 경제를 살리기 위한 여야의 협조를 당부하는 등 국회와의 협치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보여줬다”고 높이 평가했다.이어 “재정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한 때이며, 재정여력을 경기회복에 써야 한다는 경제 진단에 민주당은 적극 공감한다”며 “취약계층을 지원하고 사회안전망을 확충해야 한다는 운용방향 또한 대단히 절실하고 시의적절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야당에서도 경제와 민생이 어렵다는 지적만 내놓을 것이 아니라 내년도 예산안이 법정시한 안에 원활히 처리될 수 있도록 초당적 협력을 당부한다”며 “아울러 4·27 판문점 선언의 국회 비준도 다시 한 번 엄중히 촉구한다”고 말했다.박주현 평화당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내년 예산안의 기조를 ‘함께 잘살기’ 위한 포용성장 전략으로 잡은 것은 경제 수준이 같은 국가 중 양극화가 가장 심하고, 정부예산의 양극화 해소 역할이 가장 적은 우리나라에서 매우 적절한 방향 설정”이라고 환영했다.이어 “한 가정의 사례를 들어 국민 눈높이에서 설명한 부분은 예산이 더 이상 정부나 경제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닌, 국민에게 골고루 혜택이 돌아가야 할 국민의 돈이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적절한 방식이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그는 다만 “내년 예산안이 양극화 해소의 결과를 가져올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라며 “근로장려금 확대 등은 확실하게 양극화 해소에 기여할 것이나 더 취약한 형편에 있고 결혼할 엄두도 내지 못하는 비정규직 청년 등은 이 혜택에서조차 소외되고 있어 큰 도움이 되지 못할 것”이라고 우려했다.최석 정의당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사회 안전망과 복지 안에서 국민이 안심할 수 있고, 공정한 기회와 정의로운 결과가 보장되고 국민 단 한 명도 차별받지 않는 나라가 돼야 한다는 대통령의 철학에 적극 공감한”고 반겼다.그러면서 “무엇보다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대통령의 행보에 국회는 적극 호응할 필요가 있다”며 “평화는 여야가 따로 없는 것이 맞다. 국회는 조속히 판문점 선언 비준 동의안을 처리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반면 보수야당은 문 대통령의 시정연설을 ‘평가절하’하며 내년도 예산안에 대한 철저한 심사를 예고했다.윤영석 한국당 수석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문 대통령은 아직도 대한민국 경제위기, 고용참사 원인이 무엇인지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며 “경제 현실과 민심에서 동떨어진 시정연설에 국민은 통탄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그는 “함께 잘 살 수 있도록 하겠다는 정치적 수사만 가득할 뿐 국민 경제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는 의지가 보이지 않는다”며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 등으로 인한 고용참사, 분배악화, 투자위축 등의 경제정책 실패에 대한 반성은 전혀 없다”고 꼬집었다.그러면서 “오늘 시정연설은 실패한 경제정책을 강행하겠다는 독선적인 선언이었다”며 “한국당은 공무원 증원 예산, 남북 과속 예산, 단기 알바 예산을 비롯한 정부의 470조원 슈퍼예산에 대한 철저한 현미경 심사를 할 것”이라고 일갈했다.김삼화 바른미래당 수석대변인 역시 “오늘 문 대통령의 시정연설은 실망스러웠다”며 “일자리가 사라지고 주식이 폭락하는 경제 위기에도 ‘함께 잘 살기 위해 우리 경제와 사회 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꾸고자 했던 시간’이라며 자화자찬과 변명을 늘어놓았다”고 힐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