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희상 국회의장과 여야 5당 대표는 5일 ‘초월회’ 모임을 갖고 남북 국회회담·예산안 심의·국회 신뢰 회복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문 의장과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 자유한국당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 바른미래당 손학규·민주평화당 정동영·정의당 이정미 대표 등 5당 대표는 국회에서 오찬을 함께하며 판문점선언 국회 비준동의, 사법농단 의혹 특별재판부 설치, 선거제 개편 등 현안을 논의했지만 주요 쟁점에서 의견 일치에는 이르지 못했다. 이 자리에서 문 의장은 “11월 1일 여론조사를 보니 국회가 또 최하위 신뢰도를 받았다”면서 “제 임기동안 신뢰도가 단 1%라도 올릴 수 있다면 어떤 노력도 마다하지 않겠다고 결심하는 계기가 됐다”고 밝혔다.문 의장은 “대통령 시정연설이 있는 날 국회의 품격 있는 모습에 감동받았다. 여기 계신 대표님들 한분 한분이 노력해주신 것을 알고 있다”고 감사의 말을 전하며 “앞으로 예산안 심사가 남았는데, 법정기한 꼭 지켜서 신뢰를 회복하는 계기가 되는 바람이 있다”고 예산안의 법정시한 내 통과를 당부했다. 이해찬 대표는 “판문점선언의 비준동의를 자꾸 늦출수록 남북관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능한 한 이번 정기국회에서 매듭을 지었으면 한다”며 판문점선언의 조속한 국회 비준동의를 촉구했다. 정동영 대표도 “정기국회 안에 판문점선언의 비준동의를 해야 한다”며 “행정부 문제가 아니라 역사적 관점에서 국회가 역할을 해야 한다”고 거들었다. 반면 손 대표는 “지금 남북철도 연결 사업이 미국 제재 때문에 안되지 국회가 동의를 안 해줘서 안 되는 것이 아니다. 실체적인 예산이 나오면 그때 비준동의를 국회에서 하면 된다”며 현시점에서의 비준동의에 반대했다. 특히 여당이 추진하고 있는 사법농단 의혹 특별재판부 설치에 대해 이해찬 대표는 “사법부가 이렇게까지 심하게 농단을 할 것이라고 예상하지 못했다”며 “특별재판부를 구성해 공정한 판결이 나도록 여야가 함께했으면 좋겠다”고 설명했다. 손 대표는 이에 “사법부에서 법관회의를 거쳐 양승태 전 대법원장과 관련한 사람으로는 재판부를 구성하지 않겠다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며 특별재판부 구성이 아닌 사법부 내 해결을 강조했다. 그러나 이날 여야대표들은 다만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의 가동으로 정치권 안팎의 화두로 떠오른 선거제 개편에는 원칙적 공감대를 나타냈다. 이해찬 대표는 “연동형 비례제를 도입해 비례성이 발휘되도록 하는 데 저희 당은 동의한다”며 “다만 의석수를 어떻게 할 것인가는 여러 가지를 고려해 판단해야 하는데 정개특위에서 심도 있게 논의를 잘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손 대표는 “국회 권능 강화를 위해서도 연동형 비례대표제로 선거제 개편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대표는 “선거제 개혁을 올해 정기국회 안에서 마무리를 짓자는 방향이나 목표가 나온다면 우리 국민들에게 큰 희망과 기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이정미 대표는 “선거제도 개혁을 하자고 말만 하고 현실적인 방안에 대해서 침묵한다면 떳떳하지도 당당하지도 않다”며 “한국당과 민주당에서 의석수를 어떻게 할 것인지 책임 있는 얘기를 내놓지 못해 정개특위에서도 그 눈치를 계속 볼 것이다. 현실적인 방안을 큰 당에서 떳떳하고 용기 있게 얘기해 줬으면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