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사진> 자유한국당 의원은 7일 “선거를 앞두고 우리가 화해하고 용서하고 합쳐야 한다”며 “전당대회를 우파 통합을 할 수 있는 계기로 만드는 게 가장 좋다”고 말했다. 전당대회 출마 준비와 관련해서는 “전혀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정병국 바른미래당 의원이 주최한 ‘이·통장 지위와 처우개선을 위한 정책토론회’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그는 ‘보수 대통합’ 논의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이 국정을 잘 못 이끌고 있는데 이를 제지하기 위해선 선거를 이겨야한다. 선거를 이기려면 단결해야 한다”며 “우리나라는 진보 보수 진영 논리에 빠져 아무것도 못하고 있는데 그래서 저는 지방선거를 앞두고 복당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선거를 앞두고 또 우리가 화해하고 용서하고 합쳐야 한다”고 덧붙였다. 바른미래당과 황교안 전 총리를 포함하는 것이냐는 물음에는 “저는 보수란 표현보다 우파를 쓰는데 우파가 분열되면 목적 달성이 안 된다. 자기 성찰, 희생을 통해 모두 합쳐야 한다”고 말했다. 당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전당대회 시기에 대해서는 “비대위 기간이 길어지면 안 좋다고 생각한다”며 “원래 정해진 스케줄대로 차분하게 잘 진행되길 바란다”고 했다.지도체제 선출방식에 대해서는 “일장일단이 있는데, 단합하기 위해서는 집단지도체제가 더 낫지 않겠느냐”라고 밝혔다. 그는 “제가 당 대표할 때 집단지도체제를 했는데 아무것도 못했었다. (그런데) 단일지도체제를 겪어보니 정당민주주의에 심각한 타격이 있었다”면서 “현재 우리 우파에 제일 중요한 것은 단합해야 하는 것”이라고 했다. 당내 친박-비박 갈등이 재연되고 있다는 우려에는 “지나간 어려웠던 시절의 여러 문제에 대해 하고 싶은 말이 다들 많겠다”며 “미래를 이야기해야 하는데 과거에만 집착해서 자꾸 과거를 들먹이고 서로 간에 마음을 상하는 발언은 자제해야하지 않나”라고 했다.조강특위 위원인 전원책 변호사가 제안한 ‘박근혜 끝장토론’에 대해서는 반대 입장을 나타냈다.김 의원은 “그런 장이 벌어지면 언제든지 나가서 제 입장을 이야기할 수 있다. 지금까지 밝히지 않았던 부분들 많이 있다”면서도 “지금 와서 탄핵이 옳았냐 그르냐 말하는 것이 무엇이 도움이 되겠느냐”고 말했다.그는 “탄핵은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며 이같이 말한 뒤 “우리나라는 법치국가인데 법대로 국가가 운영돼야 하지 않나. 당시 광장의 분노가 비등점을 향해 끓어오르는데 법 테두리로 끌어들이는 게 당연한 것”이라고 했다.이어 “그걸 지금 와서 탄핵 때문에 모든 게 다 이렇게 됐다는 프레임은 옳지 못하다”며 “이런 이야기를 하면 또 공방이 시작돼서 침묵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는 유승민 전 바른미래당 대표가 축사를 위해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종 불참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