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27일 "미래교육위원회가 도출한 아이디어가 실행력을 갖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유 부총리의 취임 당시 공약이던 미래교육위원회에 힘을 싣는 모양새다.유 부총리는 이날 오후 서울 강남구 한 회의실에서 열린 미래교육위원회 워크숍에서 "앞으로 치열한 토론을 통해 도출되는 정책 제안과 아이디어는 잘 모아서 신속하게 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것은 반영하겠다"며 "중장기 제도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국가교육위원회나 국회와 상의하고 부처 협업이 필요하면 사회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실행력을 갖게 노력하겠다"고 말했다.미래교육위원회는 사회 각 분야에서 성과를 내고 있거나 도전 중인 현장 전문가들이 모여 미래교육에 관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유 부총리의 이날 발언은 미래교육위원회의 논의가 논의만으로 그치지 않도록 사회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는 부총리로서 적극 역할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유 부총리는 "미래에 대한 관심이 부쪽 높아진 이유는 급격한 사회 변화로 미래를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이라며 "미래를 이야기할 때 언제나 교육은 핵심 키워드가 될 것이고 교육부의 역할은 그 어느 때보다 막중하다"고 말했다.유 부총리는 그러나 "현장에서 느끼는 교육 정책에 대한 체감도는 여전히 낮고 시험에서 점수를 따기 위한 공부에만 집중하는 학생, 학부모가 많은 것 또한 사실"이라며 "교육에 대한 기본적인 시각을 바꿀 필요가 있고 미래교육위원회 출범의 가장 큰 목적도 바로 여기에 있다"고 밝혔다.그는 "위원님들이 걸어온 삶의 이야기를 통해 학생들이 여러 인재의 모습을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주실 것으로 믿는다"며 "위원회가 적극적인 역할을 해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미래교육위원회는 현장 의견 수렴과 자문 회의 등을 통해 미래 교육을 위해 추진할 의제들을 도출하고 연말까지 미래교육 보고서를 마련할 예정이다. 현장 의견 수렴과 소통을 위해 각 위원들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나 1인방송 등을 활용해 성공·실패 경험담, 전문 분야의 특징 및 역량 등을 소개한다.유 부총리는 "간담회나 인터넷 동영상을 통해 학생들을 만날 때 동생이나 자녀와 대화하듯 자연스럽게 이야기 해달라"며 "평소 교육에 대해 갖고 있는 생각이나 아이디어도 우리에게 기탄없이 말씀해 달라"고 요청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