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뒤 한국의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2017년보다 1195만명 줄어든다. 반면 이들이 부양해야 하는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979만명까지 불어난다. 이에 따라 2047년이 되면 생산연령인구 1명당 노인 0.7명씩을 부양해야 한다.통계청이 27일 내놓은 ‘시·도별 장래인구특별추계 결과(2017~2047년)’에 따르면 2017년 전국의 고령인구는 706만6000명이다. 이 수는 2020년 812만5000명으로 800만의 벽을 넘긴 뒤 2023년 944만7000명, 2025년 1051만1000명, 2035년 1523만7000명, 2047년 1878만7000명까지 급속히 늘어난다. 이 기간 생산연령인구는 내리막을 걷는다. 2017년 3757만2000명에서 2022년 3688만7000명, 2025년 3585만3000명, 2028년 3466만4000명으로 줄어든 뒤 2038년 2966만4000명, 2047년 2562만명까지 줄어든다. 2017년보다 1195만명 감소할 전망이다. 영남권과 호남권에서는 각각 391만명(-41.5%), 142만명(-35.5%) 줄어들어 감소 폭이 특히 크다. 시·도별로는 부산(-45.6%), 대구(-43.4%), 울산(-41.4%) 순으로 감소율이 높다. 가장 낮은 지역은 제주(-7.4%)이며 세종은 86.1%(16만명) 증가할 전망이다. 전국에서 2017년 대비 2047년 생산연령인구가 늘어나는 시·도는 세종이 유일하다.생산연령인구 중에서도 25~49세 주요 경제활동인구가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7년 38.0%(1950만명)에서 2047년 23.6%(1157만명)로 14.4%포인트(P) 낮아진다. 2047년 시·도별 총부양비는 전남 120.6명, 경북 114.0명, 강원 112.3명, 전북 110.4명, 경남 101.4명 순으로 높다. 이 지역들은 총부양비가 100명을 넘어 부양자(생산연령인구)보다 피부양자(유소년인구, 고령인구)가 더 많아질 예정이다. 2047년 서울의 총부양비는 81.6명, 경기는 83.3명이며 가장 낮은 시·도는 세종 70.3명이다.고령인구만의 부양비를 따로 계산하는 `노년부양비`의 경우 2017년 18.8명에서 2047년 73.3명으로 대폭 확대된다. 전남은 103.3명으로 전국 시·도 중 유일하게 100명을 넘어선다. 전남에 사는 생산연령인구는 각자가 노인 1명씩을 책임져야 하는 상황이다.전남의 뒤는 경북 97.2명, 강원 95.6명, 전북 92.4명, 경남 83.3명 등이었다. 총부양비는 고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총부양비가 높은 시·도 순서와 일치한다. 서울은 66.5명, 경기는 64.7명, 세종은 47.3명이다. 역시 세종이 전국 시·도 중 가장 낮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