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방사성폐기물 처분장(경주 방폐장)에 반입된 방폐물의 방사능 분석 데이터 오류에 대해 지역 주민과 사회단체들의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논란의 발단은 경주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처분장(방폐장)에 반입된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방폐물의 방사능 분석 데이터 오류가 사실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가 공개한 조사결과에 대해 5일 경주시민들은 “KAERI가 그럴 줄 몰랐다”며 분개했다. 또 “안일하게 분석·기재해온 KAERI 뿐만 아니라 정부, 원안위, 원자력환경공단에도 책임이 있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무엇보다 KAERI가 전담하고 있는 방사능 핵종 등의 분석기능을 방폐장 운영기관인 공단에도 갖추고, 이를 감시하는 검증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폐로에 들어간 고리1호기와 월성1호기의 해체 폐기물이 대규모로 반입될 것을 예상하면 검증시스템은 시급하게 추진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KAERI 방폐물 분석 오류로 원자력환경공단은 ‘개점휴업’ 지난해 8, 9월 KAERI의 방폐물 분석 데이터 오류문제가 부각되면서 원전방폐장민간환경감시기구(위원장 주낙영 경주시장)와 경주시의회는 안전성 문제를 제기하며 공단에 방폐물 반입 중단을 촉구했다.공단은 지난해 12월 말 울진 한울원전 방폐물 1000드럼을 마지막으로 반입을 중단했다. 당시 예정됐던 경주 월성원전 방폐물 503드럼은 발전소에서 보관 중이다. 이에 공단은 지난 3일 감시기구 제32차 임시회의에서 KAERI를 제외한 한수원 방폐물의 우선 반입을 요청했으나 거절됐다. 김남용 감시기구 부위원장은 “원안위 발표를 기준으로 보면 초심을 잃고 안일하게 대응한 원자력연구원에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면서 “시설과 인력이 모두 충원된 상태에서 분석이 진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내용물이 반입 기준치 이하라 하더라도 한 번 깨진 신뢰가 회복되기는 쉽지 않다. 방폐물이 안전하게 관리돼야 주민들도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을 것”이라며 “감시기구, 환경단체, 전문가, KAERI 등이 참여하는 민관합동조사단이 현재 조사를 진행 중이다”고 덧붙였다. ▣10년간 반입 방폐물 총 ‘2만3483드럼’…경주시 ‘검증분석센터’ 추진중저준위 방폐물 80만 드럼(200ℓ)을 저장할 수 있는 경주 방폐장은 총 214만㎡ 부지에 2015년 1단계 동굴처분장이 준공돼 운영 중이다. 지하 130m의 사일로에 드럼통에 담긴 폐기물을 보관한다. 현재 2단계 처분장(12만5000드럼 기준)은 지상에 표층식으로 추진 중이다.1단계 공사 중 환경단체 등이 지하수, 지진 단층대 등 안전성 문제를 심각하게 제기했고 수차례 지연돼 준공도 예상보다 늦어졌다. 방폐장은 향후 60년간 운영된다. 지난 10년간 원전을 비롯해 병원과 연구기관 RI(방사성 동위원소) 등 방폐물은 모두 2만3483드럼이 반입됐다. 준공되기 전 반입을 시작한 2010년 첫해에 1582.5드럼을 비롯해 2017년에 가장 많은 5425.6드럼이 인수됐다.경주시는 이번 KAERI 방폐물 분석 오류의 재발 방지를 위해 감포읍에 방폐물 분석검증센터를 건립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원안위, 공단, 산업부 등 관련기관이 모두 참여하는 검증센터를 건립해 분석 시스템을 확보하고 방폐장이 안전을 최우선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