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현 국민의힘 대표와 당권 경쟁자였던 황교안 전 미래통합당 대표가 14일 차기 총선 승리를 위한 `원팀`에 공감대를 이뤘다.
김 대표는 이날 낮 12시부터 서울 여의도 한 식당에서 황 전 대표와 1시간 가량 오찬 회동에 나섰다. 이번 회동은 김 대표가 황 전 대표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제안한 것으로 알려진다. 김 대표는 ‘연포탕’(연대·포용·탕평)을 강조하고 있다.
김 대표는 회동 직후 기자들과 만나 “아주 화기애애한 분위기였다”며 “제가 영접까지 해드렸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어 “앞으로 우리 당이 어떻게 잘하면 내년 총선에서 이길 수 있냐 서로 많은 공감을 나눴다”고도 했다.
그는 땅 투기 의혹 관련 논의 여부에 대해서는 “없었다”고 선을 그었다.
황 전 대표는 지난 경선에서 김 대표의 울산 KTX 역세권 시세차익 의혹을 처음으로 꺼내들었고 김 대표 사퇴를 요구하며 대여투쟁을 예고하기도 했다. 패배 이후에는 부정 경선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황 전 대표는 “당과 나라가 어려울 때 당과 나라를 살릴 수 있는 협력의 틀을 만들자는 취지의 논의가 있었다”며 “김 대표께서 당을 앞으로 어떻게 꾸려가겠다고 하는 개괄적인 말씀을 했다. 저는 적극적으로 돕겠다고 답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과거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통과 과정에서 어려움을 당한 의원 동지들이 많이 있다. 여야가 같이 걸린 문제라 해결책을 모색해줬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며 “그간 논의했던 과정을 김 대표가 말했다. 모색을 하도록 하겠다(고 했다)”고도 말했다.
황 전 대표는 ‘대여투쟁까지 얘기했다가 기류가 바뀐 계기’에 대해 “제가 가는 길은 변함이 없다. 그렇지만 당대표가 새로 세워 졌으니까 당대표 중심으로 당이 정상화되고 다시 일어나는 게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병립할 수 없는 게 아니라 병립해서 같이 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렇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했다. 그는 ‘대여투쟁’에 대해 “필요한 건 안에서 잘못한 걸 고치고 민주당이 잘못한 것도 고치고 필요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그는 ‘김 대표가 당직을 제안했느냐’는 질문에 “제가 당직 제안을 하면 받기 어렵다는 취지의 얘기를 했는데, 그래서 당직 제안이 있지 않았다”며 “다음에 만날 때는 있을지 모르겠다”고 웃었다.
황 전 대표는 ‘부정선거 언급 여부’에 대해 “오늘 자리에서 전혀 없었고 당내 경선 과정에서 부정선거라는 말을 한번도 한 적 없다. 부정선거 얘기를 꺼낸 바가 없다”며 “공정한 경선 얘기를 하면서 그에 맞지 않는 이상한 투표 결과가 나왔다고 했다”고 부인했다.
이어 “그 부분에 관해 지금도 검증 중에 있다. 이틀 동안의 자료인데 5초 단위로 투표 상황을 발표했다. 이런 걸 하나하나 되짚어가면서 챙겨보고 있는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 전문가들이 하고 있는데 시간이 좀 더 필요할 거 같다”고 했다.
그는 ‘검증 끝나고 김 대표에게 문제가 있으면 어떻게 할 것이냐’는 취지의 질문에 “저는 (~~다)면자를 붙여 얘기하지 않는다. 조사에 따라 결과 나오면 그때 상황으로 판단할 건데그런 어려움이 없게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황 전 대표는 김 대표 땅 의혹에 대한 입장에 대해서는 “불법이나 잘못에 대해서는 반드시 고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제가 문제제기를 충분히 했다. 전당대회 과정에서 충분히 했기 때문에, 김 대표도 문제가 있는지 없는지 잘 알거다. 당분간 이 부분을 보고 있는 데 잘 해결해 나가리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강민국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시종일관 화기애애하게 두 분이 말씀하셨다”며 “내년 총선 승리를 위해 원팀으로 함께 가자고 말씀하셨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어 “황 전 대표가 유능한 공안 검사 출신이고 해서 민노총 간첩 침투 사건에 대해서 두분 다 우려를 표했다”고도 했다.
그는 “집권여당으로서 해야 할 건 민생, 경제, 일자리, 집값, 세금 문제에 대해서 확실한 성과를 내야 되지 않겠나 큰 틀에서 세 가지를 말했다”고 부연했다.
강 수석대변인은 ‘황 전 대표에게도 특위위원장을 제안했느냐’는 질문에 “특별한 특위 제안은 없었다”고 답했다. 땅 투기 의혹 논의 여부에 대해서도 “그런 말씀은 일체 없었다”고 재차 부인했다. 천하람 위원장과 회동 여부에 대해서는 “계속 연락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천하람 전남 순천갑 당협위원장이 지도부내 교통정리가 돼야 회동하겠다고 한 것에 대해 “천 위원장이 뭐라 했는지는 언론을 통해서 봤다. 그건 그렇고 얘기할 건 해야 한다”고 회동 의사를 드러냈다.
그는 ‘이준석 전 대표도 연포탕 대상이냐’는 취지의 질문에는 “특정인을 지목해서 연포탕이냐 아니냐는 적절하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윤석열 정부의 성공을 바라고 그리고 우리 국민의힘 보수 정권이 내년 총선과 이어지는 지방선거와 대선에서 이길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공감하는 분이면 심지어 민주당 인사라고 해도 큰 틀에서 대통합의 대상이 된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고 했다.
한편, 김 대표는 전날 서울 여의도 한 카페에서 안철수 의원과 만나 당 화합과 내년 총선 승리를 위해 힘을 합치자고 의견을 모았다. 김 대표는 전당대회 직후 안 의원과 회동을 위해 실무진 차원에서 일정 조율에 나섰고 안 의원도 지방 순회 일정을 순연하고 회동에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