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장애인 단체가 장애인 이동권 보장과 관련해 지자체가 문제 해결에 나설 것을 요구했다.
대구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19일 기자회견을 열고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위한 자립생활 대행진을 개최한다”며 “대구시는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교통약자법)의 조속한 이행을 위한 예산을 마련하고 관련 조례를 개정하라”고 촉구했다.
단체는 “교통약자법과 시행령 개정의 취지에 따라 특별교통수단과 저상버스 등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수단이 확대되고 운행범위가 넓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특별교통수단은 법정 대수 216대 중 180대(83.3%)만 도입돼 법정 대수를 지키지 못한 상황이다”고 주장했다.
나아가 “특별교통수단은 운전원이 177명으로 차량 1대당 1명도 되지 않아 운전원 수의 부족으로 180대 중 실제 운행하는 비율은 최대 65%에 그치는 등 이용에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명애 대구장애인차별철폐연대 상임공동대표는 “특별교통수단의 경우 법 개정에 따라 경북과 경남지역 일부까지 운행범위가 확대되어야 하나 법정 대수조차 지키지 않는 상황과 운전원 수 부족으로 제대로 된 운행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했다.
민중의례와 발언을 마친 후 단체는 이날 오후 1시30분부터 대구시의회 앞을 지나 교동네거리, 대구역네거리, 동침산네거리, 대구산격청사까지 총 2.8㎞를 행진한다.
집회에는 장애인지역공동체, 정의당대구시당 등 주최 측 추산 80여명이 참여했다. 경찰은 행사 관리와 충돌에 대비해 기동대 등 300여명을 대회 현장에 투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