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지역 학부모들의 민심이 사납다.학부모들은 "군위 거점학교 육성정책은 대구교육청의 일방적이고 졸속적인 행태라고"모질게 쏘아부쳤다.군위 작은 학교 살리기 공대위는 지난 6일 대구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분노의 화살 시위를 당겼다.이들은 대구시교육청이 추진 중인 `군위 거점학교 육성정책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대구교육청이 추진 중인 군위 거점학교 육성정책은 군위지역 초·중·고 통학구역조정이다.공대위는 "지금도 군위초·중을 제외한 면 단위 학교들은 대부분 전교생이 15~30명 내외에 불과하다. 이렇게 되면 소규모학교들은 당장 학교교육활동 운영에 타격을 받고 휴교 위기에 처할 수 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대구교육청이 말하는 `폐교가 아닌 휴교`는 학생과 양육자 입장에서는 학교가 사라진다는 점에서 말장난에 불과하다"며 "군위 면적이 대구시 면적의 41%를 차지함에도 초·중·고 1개씩만 운영하겠단 것은 지역 소명을 가속화시키는 것이다"고 덧붙였다. 공대위는 "큰 학교에서 작은 학교로 전학은 막고 작은 학교에서 큰 학교로 전학은 허용하는 것은 일방적 통학구역조정이다"고 했다.결국 "작은 학교에서 친구들과 오랜 정을 쌓은 학생들 입장이나 조용한 곳에서 지역 주민들과 유대관계를 맺고 살고 싶어하는 양육자를 고려하지 않은 선택이다"라고 꼬집었다.이들은 "대구교육청은 군위 거점학교와 통학구역조정을 발표하기 이전 지역 주민이나 양육자, 학생, 교사 등의 의견을 제대로 수렴하지 않았다"고 했다.실제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5일까지 실시한 군위 거점학교 정책 현장교사 설문에서 대부분의 군위 현장 교사 대부분이 거점학교와 통학구역조정 도입을 반대(전체 응답자의 82%)했다.때문에 대구교육청이 대구-군위 통합 1년만에 학교 존립 문제를 경제(효율성) 논리로 풀어 낸 것이 잘못됐다"고 지적했다.무엇보다 "대구교육청이 학생 수 감소를 명분으로 소규모 학교를 없애는 것이 아니라 농촌지역을 고려해 작은 학교 활성화 정책을 먼저 제시해야 한다"며 지금이라도 대구교육청이 농촌의 작은 학교 교육 여건을 개선해 과밀 학교로부터 인구 유입을 촉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황태용기자,  박재성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