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의 내 각 인선이 마무리됐 다. 국민이 기대한 것은 위기 대응과 통합의 리더십이었 으나, 결과는 ‘권력 수호·내편 채우기’ 였다.
금융감독원장 내 정자는 대통령 사건 의 변호인이자 사법연수원 동기이다.교육부와 국가교육위원회 수장은 전교조·민 주당 코드 인사, 민주평통 사무처장은 통합진보 당 출신이다. 대통령 사건을 맡았던 법조인들이 법제처장, 국정원 기조실장, 민정·공직기강·법무비서관 등 요직을 장악한 현실에서, 금융·교육·외교 안 보가 아니라 ‘대통령 지키기’가 우선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총리와 장관·비서관 후보자들 역시 재산 형성 과 이해충돌, 군 복무 논란, 성범죄 사건 변호, 가 상화폐 투기 등 국민 눈높이에서 용납하기 어려운 전력으로 가득하다. 이는 국민 여론을 무 시하는 오만함이자, 고위 공직의 자격과 책임을 무너뜨리는 행위다.이재명 대통령은 ‘모두의 대통령’을 자임했지 만, 실제로는 ‘내 편 대통령’으로 귀결되고 있 다. ‘정의로운 통합정부’를 약속했지만 정의의 기준은 보이지 않고, ‘분열을 끝내겠다’던 약속 은 오히려 분열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국민은 묻는다. ‘국민이 주인인 나라’를 만들겠다던 대통령이, 과연 국민을 주인으로 대하고 있는지. 민심의 경고를 두려워하는지, 아니면 외면하는지. 이 질 문에 답하지 않는 한, 국정은 더 깊은 불신의 늪 에 빠질 것이다.국정은 ‘내 사람, 내 편’의 보호막이 아니라 ‘모 든 국민’의 신뢰 위에서 서야 한다. 이재명 대통령은 권력 사유화 인사를 즉시 중 단하고, 진영이 아닌 국민 전체를 향한 인사 원 칙으로 돌아와야 한다.개혁신당은 국민의 눈과 상식을 거스르는 ‘권 력 수호·내편 채우기’인사를 끝까지 감시하며, 그 책임을 분명히 물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