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은 평균적으로 평생 약 450번의 생리를 경험한다. 그만큼 많은 기회를 통해 생리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생리는 여전히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우리를 놀라게 할 수 있다. 다음은 미국 건강전문매체 웹엠디(WebMD) 의 자료를 토대로, 많은 사람들이 잘 모를 수 있 는 생리 관련 상식 5가지다.▣생리 중에도 임신할 수 있다생리 중에는 임신이 되지 않는다는 오랜 속설 은 사실이 아니다. 이유는 두 가지로 일부 여성은 배란기 때 가 벼운 출혈을 경험하는데, 이를 생리로 착각할 수 있다. 하지만 배란기에는 임신 가능성이 가장 높기 때문에 이 시기에 성관계를 하면 오히려 임신 확 률이 올라간다. 생리가 끝나기 전이나 끝난 직후에 배란이 일 어날 수도 있다. 정자는 여성의 몸속에서 최대 3일간 생존할 수 있기 때문에 생리 기간 중 성관계를 하더라도 임신 가능성은 존재한다. 그러므로 생리 주기와 상관없이 피임을 원한 다면 반드시 콘돔이나 다른 형태의 피임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피임약 복용 중 출혈 ‘진짜 생리’ 아니다 피임약을 복용하면 한 주 동안 호르몬이 들어있지 않은 알약을 먹게 되면서 출혈이 발생하지 만, 이는 일반적인 생리와는 다르다. 이를 ‘철회성 출혈’이라고 하며, 호르몬 공급 이 중단되었을 때 몸이 반응하는 방식이다. 보통 자연 주기에서는 배란이 일어나고, 수정되지 않은 난자는 자궁 내막을 탈락시키며 생리 를 유도한다. 피임약은 배란 자체를 막기 때문에 자궁 내막 이 일정 부분 유지되고 마지막 주에 호르몬 공급 이 끊기면서 출혈이 생기는 것이다. 따라서 피임약 복용 중의 출혈은 자연 생리와 는 다른 작용으로 발생한다.▣생리는 나이에 따라 달라진다처음 생리를 시작한 이후에는 주기가 불규칙 하거나 길게 느껴질 수 있다. 10대 청소년기의 생리 주기는 보통 21일에서 45일 사이로 다양하다.시간이 지나면서 평균 21~35일 정도로 규칙 적으로 변한다. 그러나 폐경 전 단계인 ‘폐경 전후기’에 접어들면 호르몬 변화로 인해 주기가 다시 달라질 수 있다. 생리 간격이 짧아지거나 길어질 수 있고, 출혈 량이 많아지거나 줄어들기도 한다. 이 시기는 폐경이 시작되기 전 약 10년 동안 지속될 수 있다.생리가 완전히 멈출 때까지 변화가 반복될 수 있다. 점진적인 변화는 자연스러운 과정이지만, 갑자기 생리량이 과도하게 많아지거나 생리 가 장기간 없어진다면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 해야 한다.▣생리용품 선택지 다양탐폰이나 생리대 외에도 다양한 생리용품이 나와 있어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 예를 들어 생리컵은 질 안에 삽입해 생리혈을 모으는 방식으로, 최대 12시간까지 사용할 수 있 어 교체 주기를 늘릴 수 있다. 생리용 팬티는 흡수력이 뛰어나 가벼운 날에 는 단독으로 많은 날에는 탐폰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천 생리대는 세탁 후 재사용이 가능해 경제적 이고 친환경적인 선택이 될 수 있다. 각 제품마 다 장단점이 있다.자신의 생리량, 생활 패턴 등에 맞게 다양한 제품을 시도해보며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찾는 것이 좋다.▣PMS 이유 아직도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 생리 시작 1~2주 전쯤 여드름이 나거나, 쉽게 피로해지고, 특정 음식이 당기고, 몸이 붓거나 감정 기복이 심해지는 등의 증상을 경험한 적이 있다면, 이는 많은 여성들이 겪는 월경 전 증후 군(PMS)일 수 있다. 하지만 의학적으로 PMS가 왜 발생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일반적 으로는 생리 주기 중 호르몬 변화, 뇌의 화학물 질 변화, 그리고 우울증 같은 감정적인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생리가 시작되면 통증이나 불편함이 집중력 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실제 연구에 따르면 생리통, 복부 팽만감, 두 통 등의 통증은 일상 업무 수행 능력을 떨어뜨릴 수 있지만 이를 극복하면서도 일상생활을 유지 할 수 있다는 점도 확인됐다.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PMS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주 5회 이상 하루 30분 정도 운동을 하고, 수 면을 충분히 취한다.금연하고, 염분이나 설탕, 카페인, 알코올 섭취 를 줄이는 것이 좋다. PMS로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이거나 우울 증, 불안 증상이 동반된다면 ‘월경전 불쾌장애 (PMDD)’와 같은 보다 심각한 상태일 수 있으므 로 전문가의 진단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