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보수혁신특별위원회 위원인 조해진 의원이 22일 대통령에게 집중된 권한을 분산시키는 분권형 개헌을 특위에서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조 의원은 이날 오전 PBC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서종빈입니다`에 출연해 "혁신위에서 다뤄질 의제가 아직 정해지진 않았지만 정당개혁과 선거개혁, 정치개혁, 국회 운영위 개혁 등 국정 운영의 틀을 개혁하는 문제, 개헌 문제를 비켜갈 수 없다고 생각한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그는 "그 동안 국회 안에서도 여야 할 것 없이 개헌에 관한 논의가 굉장히 오래 진행돼 왔고, 대통령에게 집중된 권한 때문에 대선에서 죽기살기로 싸우는 것에서 모든 정치적 문제들이 야기됐다고 생각한다"며 "대통령에게 집중된 권한을 분산시키는 분권형 개헌에 여야 상당수 의원들이 공감대를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 의원은 그러면서 "개헌이 되려면 늦어도 올해 말이나 내년 상반기까지 되지 않으면 가능성이 없다"며 "우리 당에서부터, 혁신위원회에서부터 틀을 잡아 야당과 협상해 추진해야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조 의원은 이어 공천제도와 관련, "줄서기나 공천비리, 정치보복 등 왜곡된 공천 행태가 다 이 제도 문제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에 공천 제도를 민주화하고 민의가 충실하게 반영되는 공천제도로 개혁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그는 "개념적으로 말하면 당연히 상향식으로 해야 한다"면서 "지금부터 논의돼야 시행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갑자기 하면 제대로 해내기 어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 의원은 이어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혁신특위에 전권을 맡길 수 없다고 말한 데 대해선 "별로 의미 없는 논쟁이라고 생각한다"며 "혁신위원회에 전권을 주느냐 마느냐가 관건이 아니고, 혁신위원회에서 새누리당 158명 의원들과 전체 당원들이 공감하고 동의할 수 있는 혁신안을 만들어내느냐 못 만들어내느냐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그는 "설득력이 있는 콘텐츠, 동의할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들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며 "어차피 최고위원회나 의총, 당 개정사항이 될 경우 전국위원회나 전당대회를 거치는 것이 절차기 때문에 그건 별로 논의할 대상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조 의원은 아울러 박희태 전 국회의장의 성추행 논란도 혁신위에서 다뤄지냐는 물음에 "큰 틀에서 국회 운영과 정당 운영은 물론, 의원 개개인의 행동거지와 언행이 국민들에게 실망을 주지 않고 국민의 대표로서 품격과 신뢰를 지킬 수 있는 풍토와 문화, 윤리적 기준 등을 만드는 것도 당연히 고민해야 할 대상"이라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