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원해연) 유치에 경북도 경주·포항시 등 유관기관이 손을 맞잡았다. 원해연 유치를 놓고 경주 부산 울산이 저마다 최적지라며 사활을 건 승부를 하고 있는데 따른 대응이다. 경북은 전국 23기의 원전 중 50%인 11기가 집중돼 있고 19년 동안 방황하던 방폐장 문제를 압도적인 지지로 경주에 유치한 사실만으로도 경주유치의 당위가 설명된다.29일 경주에서 원자력클러스터활성화를 위해 경주, 포항시, 경북대, 포스텍 등 18개 기관이 참여, 양해각서에 서명했다. 연구기관으로는 나노융합기술원과 포항가속기연구소,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포항금속소재산업진흥원, 한국로봇융합연구원, 경북테크노파크, 포항테크노파크, 한국원전기자재진흥협회가 동참했고 경북대와 영남대를 비롯한 대구-경북의 유수한 대학들이 동참했다. 원해연은 2019년까지 1473억원을 들여 추진하는 국책사업으로 경주시를 비롯한 8개 지자체가 유치의향서를 제출한 상태다. 정부는 당초 지난해 연말까지 원해연 부지 선정을 마칠 방침이었지만 예비타당성 조사를 이유로 입지 선정 공모 등을 연기한 이후 현재까지 아무런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어서 이번 국책사업마저 정치적 입김에 좌우되는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까지 증폭되고 있다.원해연 유치 조건으로 경북을 능가할 곳이 없다. 경북은 현재 설계(한국전력기술), 운영(한수원), 처분(방폐장)을 담당하는 기관을 모두 갖고 있으며며 산·학·연·관 협력체계도 구축돼 있다. 특히 경북은 국내에서 중수로와 경수로를 모두 가진 유일한 지역이다. 게다가 경북은 원전밀집 지역이면서 인구밀도가 낮으며 타 시도에 비해 저렴한 부지가 풍부하다. 그럼에도 전국 17개 원전 관련 연구·산업시설들 중 경북은 단 한 곳도 없다는 사실만 봐도 웒해연은 경북 경주시로 와야 된다. 세계적으로 원전 해체시장은 무려 1천조원에 달한다. 2040년까지 가동 중인 전 세계 430여 기의 원전 중 약 270여 기가 해체되어 약 900억 달러의 시장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이처럼 원전 해체시장은 글로벌 블루오션이기도 하지만 원해연 유치를 놓친다면 경북도의 야심작 원자력클러스터는 실패할 수밖에 없다. 18개 유관기관이 양해각서에 서명한 것을 계기로 경주만의 외로운 싸움이 아니라 단합된 힘으로 반드시 유치하기 바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