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관계가 변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 22일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을 맞아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상대 측 행사에 교차참석한 것이다. 지난 21일 일본 도쿄에서 두 나라 외교장관회담을 열기 전까지는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의 참석이 불확실했으나 두 정상의 상대 측 행사 참석으로 관계개선을 하겠다는 강력한 의지 표현가 표출됐다. 이처럼 좋은 일이든 궂은 일이든 서로 만나야 양국 관계도 진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경색국면으로 흘려 보낸 2년 4개월이 아쉽지 않을 수 없다. 두 정상의 축사에 담긴 핵심요체는 ‘미래’였다. 박 대통령은 “올해는 두 나라가 새로운 미래를 함께 열어가야 할 원년”이라고 말했으며 “과거사의 무거운 짐을 화해와 상생의 마음으로 내려놓을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아베 총리도 “50년간의 우호 발전의 역사를 돌이켜보고 향후 50년을 내다보며 함께 손을 잡고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자”고 강조했다. 얼핏 들으면 갈등국면이란 전혀 없었던 선린양국의 관계처럼 보인다. 모든 문제가 일거에 해소될 것 같은 착각에 빠지게 된다. 국교정상화 50주년 행사는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두며 관계 정상화의 산뜻한 출발을 알린 셈이다. 하지만 한일 양국은 이제 겨우 첫 관문을 넘었을 뿐이고 일본군 위안부와 아베 담화 등의 난제를 남겨놓고 있다. 앞서 두 나라는 외교장관회담을 통해 악재 가운데 하나로 꼽혔던 일본 산업혁명 시설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추진도 의견 접근을 본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측이 관련 시설에서 조선인 강제노동이 있었다는 역사적 사실을 반영해야 한다는 우리 측 주장을 받아들였다는 후문이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도 상당히 이견을 좁힌 것 같다. 유흥수 주일대사는 최근 마이니치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위안부 문제가 정상회담의 전제가 아니다”라고 말해 이를 뒷받침했다. 한일관계의 새 출발은 일본의 진실된 반성에서 나야와 한다. 위안부 문제를 인정하고 명실상부한 보상을 통해 조속히 마무리 짓는 것이 정도이고 첩경이다. 정부도 이번 일을 계기로 과거사 집착을 딛고 통일 협력, 경제협력 등 시장경제 가치 공유, 북행 대응 등에 관련한 파트너 십 유지 방안을 적극 모색할 때다. 그러려면 일본 측이 과거사 문제 등에 있어 근본적인 변화를 보여 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