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전국 지자체 최초‘해킹 방지 센터’ 구축대구시가 최근 급증하고 있는 컴퓨터 해킹과 같은 사이버 침해를 막기 위해 `통합사이버침해대응센터`를 구축한다.22일 대구시는 원전해킹, 금융권 개인정보 유출 등 날로 지능화 돼가는 컴퓨터 해킹과 관련, 기존 사이버침해대응센터를 공기업, 출연기관 및 유관기관, 지역 중소기업에까지 통합해 운영하는 지역 통합사이버침해대응센터로 확대·구축한다고 밝혔다.지역 통합사이버침해대응센터는 지역 기업의 첨단 기술정보 유출을 방지하고, 공공기관의 사이버 침해사고에 종합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4시간 운영된다.센터 구축을 위해 대구시는 선행 사업으로 2014년 10월 한국산업기술보호협회 및 대구테크노파크와 지역 중소기업의 기술정보 유출 방지사업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선행 사업을 기반으로 올해는 대경연구원 등 10개 기관을 대상으로 이달 말부터 8월 말까지 선행확대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며 사업이 완료되면 EXCO는 전국 전시컨벤션센터 중 24시간 사이버침해대응 관제가 적용되는 최초의 전시컨벤션센터로 거듭난다.지역 통합사이버침해대응센터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한국산업기술보호협회와 연계해 지역 중소기업 첨단기술지킴 관제 종합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 △최근 지능화되고 있는 해킹에 대비해 첨단기능의 빅데이터 방식을 적용, 사이버침해대응시스템 환경을 구축 △대구테크노파크와 연계해 지역 통합사이버침해대응을 위한 운영 전문 인력 확보 등 종합 추진체계의 기반을 마련 △기관별 특성을 고려해 기관별 사이버침해사고 대응 인프라 확보 및 실질적인 운영이 최소비용으로 가능하도록 했다.센터의 운영이 본격화되면 기존 방식대비 2.5억원 정도의 예산 절감이 기대된다.한편 시는 센터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참여기관 및 기업 정보보안 담당자의 실무능력향상을 위한 다양한 정보보안 교육도 지속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권영진 대구시장은 “전국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추진되는 지역 통합사이버침해대응센터 구축사업은 기업 첨단기술정보의 불법유출에 따른 경제적 피해 방지와 공공분야 정보시스템의 안정적 운영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정보안전 거점도시 대구 구현의 시발점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