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박근혜 대통령의 ‘4대 개혁 완수’ 엄명에 발맞춰 우선적으로 노동개혁에 총력전을 펴기로 하면서 그 파급효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노동개혁은 자칫 보혁갈등을 촉발시킬 수 있는 민감한 사안이라는 점에서 그렇다. 이런 가운데 당내 일각에서는 ‘좌클릭’ 정책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나와 주목되고 있다. 즉 당이 일반 서민대중을 상징하는 노동계를 압박해야 하는 개혁작업에 몰두하고 있는가운데 한편에서는 이들 서민층을 겨냥한 진보적 색채의 정책 도입을 강조하는 다소 엇갈린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이를두고 당 안팎에서는 노동개혁에 따른 정치적 부담을 ‘좌클릭’정책을 통해 어느정도 덜어보겠다는 전략이 담겨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유승민 사태’로 촉발된 ‘준내전’ 사태를 끝내고 연일 “당청은 하나다”를 외치는 가운데 새누리당은 박근혜 대통령의 핵심국정과제인 ‘4대 개혁’ 가운데, 노동개혁에 전력을 쏟기로 하고 특위 구성에 나서는 등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하지만 당내에서는 여러 의원들이 공식적인 언급은 자제하고 있지만, 노동개혁 문제가 자칫 ‘표 떨어지는 도구’가 될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내년 총선 공약을 총괄하는 새누리당 김정훈 정책위의장의 ‘좌클릭 정책 필요’ 발언은 관심을 끌고있다. 김 정책위의장은 지난 23일 뉴시스와 인터뷰에서 “내 개인적으로 보면 경제정책적으로는 기존 보수경제에서 약간 진보적 스탠스, 중도 우파에서 약간 좌클릭 해야 한다는 관점을 지니고 있다”며 “중요한 것은 우리 사회가 지금 그렇게 가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김 정책위의장은 일단 ‘사견’임을 전제했지만 박근혜 정부의 ‘4대 개혁’ 문제와는 별개로 당장 9개월 뒤 선거를 치뤄야 하는 당 차원에서 별도의 전향적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인 셈이다. 이와관련 당내 반응은 엇갈리고 있다. 한 핵심 재선 의원은 “김무성 대표가 표 잃을 각오를 하고 개혁에 매진하겠다고 다짐한 마당에 중도지향 정책이 나올 수 있겠나”며 “이미 유승민 원내대표의 실험은 끝났다”고 단언했다. 그는 “총선 공약을 만들어야 하는 김 정책위의장의 당위적 고민은 이해하나, 김 의장이 중도지향적 정책을 행여 꺼내면 또다시 유승민 논란이 재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물론 다른 해석도 있다. 유승민 전 원내대표는 청와대의 “증세없는 복지론”을 “허구”로 규정하며, 중부담-중복지로 나아가야 한다고 역설, 청와대의 반발을 샀다. 특히 ‘사회적경제기본법’을 제안, 유승민식 복지론의 얼개를 그렸다. 당 핵심 관계자는 “지금은 당청이 한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대세론에 묻혀 이견이 나오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총선이 다가올 수록 중도표를 잡아야 하는 현실적 문제 때문에라도 좌클릭 정책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제기될 것”이라며 “박근혜 대통령도 지난 대선 때 경제민주화 라는 큰 좌클릭 행보를 나타내지 않았냐”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