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용표 통일부 장관이 26일 추석 전 이산가족 상봉을 성사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남측이 이산가족 상봉을 비롯한 쌍방의 관심사를 논의하기 위한 고위급 접촉을 제안한지 1년만의 일이다. 냉정히 바라보면 광복절 특사보다 더 의미 있는 것이 이산가족상봉이다. 광복 70주년이라는 역사적·민족적 의미가 대단히 크기도 하지만 생존한 이산가족이 급격히 줄고 있다는 점에서 인도주의에 입각한 대승적 조치가 절박한 상태이다. 이산가족들이 생존해 있을 동안에 남북으로 흩어진 가족들이 만날 기회를 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산가족 사망자는 1988년 이래의 상봉 신청자 12만여명 가운데 이미 절반이 넘는 6만3000여명이 사망했다. 지금까지 3000여 가족만이 재회한 점을 고려하면 사망자 대다수가 북측 가족을 만나지도 못하고 눈을 감은 셈이니 국민의 눈물을 닦아 줘야 할 정부의 책임이 무겁다. 현재 생존한 이산가족들 가운데 절반이 80세 이상이라면 그 절박함이 가슴에 와 닿을 것이다. 남북 간에 풀어야 할 현안이 겹겹이 쌓여 있지만 이산가족상봉이라는 대명제를 위해 크게 양보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남북이산가족 상봉은 지난 2000년부터 시작됐지만 이산가족 상봉이 성사되는 속도가 너무나 지지부진해서 문제다. 그간 19차례 ‘대면 상봉’을 했지만 상봉의 감격을 누린 사람은 고작 1956명에 불과하다. 이런 속도라면 신청한 전원이 ‘대면 상봉’을 하는데 520년이나 걸린다고 하니 비정하기 짝이 없는 일이다. 생존 신청자들이 16년 후인 2031년까지 모두 사망할 것이라고 이산가족위원회는 밝히고 있을 정도로 사태가 심각함에 유의하기 바란다.문제는 북한이 이산가족상봉과 금강산관광재개를 연계시키고 있는 점이다. 이에 대해 마침 홍 장관이 언급했다. 홍 장관은 금강산 관광 재개와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를 의제로 한 남북대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고위급 접촉이든 실무회담이든 남북한이 만나서 여러 가지 현안을 해결해야 한다”며 “그런 현안에 대해서 만나서 논의하자는 것이 정부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이산가족 상봉은 인도적 차원에서 중요하고 시급한 문제”라며 “추석 명절을 앞두고 이산가족이 만나서 회포를 풀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노력해나가겠다”는 고무적인 입장을 취했다. 따라서 북한의 전향적인 태도가 관건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