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청 이전을 앞두고 있는 안동시 풍천면 도양리 주민들의 `3대 혐오시설 반대` 목소리가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도양리 주민 200여명은 28일 안동시청에서 시위를 열고 환경에너지종합타운(광역쓰레기매립장)과 시립화장장, 공공하수처리시설 등에 반대한다는 뜻을 강하게 밝혔다.공공하수처리시설 등은 도청신도시 정주여건상 불가피한 시설이라는 점에서 도청이전지인 도양리 일대 주민의 반대는 자칫 도청이전 차질까지 빚을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주민들은 시립화장장과 관련한 보상 문제도 마무리되지 않은 상황에 광역쓰레기매립장까지 추진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최방구리(70·전 풍천농협조합장) 주민대책위원장은 "쓰레기매립장이 들어오면 환경오염과 건강저하, 땅값하락 등 온갖 피해가 예상된다"라며, "이는 풍천면만의 문제가 아니라 안동시민 전체의 문제"라고 말했다.그는 "다이옥신 등 발암물질에 주민들이 노출될 위험도 배제할 수 없다"며 "도청신도시 바로 옆인 도양리에 이 같은 혐오시설을 추진하는 이유를 알 수 없다"고 항거했다.민간제안사업(BTL)으로 경북도가 추진중인 도양리 일대 환경에너지종합타운은 안동과 영주, 상주 등 경북지역 11개 시군의 쓰레기를 회수처리하고 음식물자원도 처리하는 시설이다.유기성 바이오가스화 사업을 병행하면서 `환경에너지종합타운`이라는 명칭을 붙였지만 사실상 쓰레기매립장과 유사한 시설로 알려졌다.경북도와 안동시는 환경에너지종합타운과 관련한 주민설명회를 계획했다. 하지만 사전동의가 없었다는 이유로 주민들이 반발하면서 무산됐다.김수동 안동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주민들에게 끼칠 여러가지 영향, 일대의 대체적 바람방향 등 자세하고 성실한 환경영향평a가와 함께 사전 설명회나 동의가 선행됐어야 했다"라며, "특히 도청신도시 코앞이라는 입지선정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꼬집었다.경북북부 환경에너지종합타운은 경북도청 신도시 주변인 풍천면 6만7093㎡ 터에 1611억원을 들여 2018년까지 완공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