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민이 28일 상주시의 문장대온천 개발 재추진에 강력히 반발했다.문장대온천개발저지충북범도민대책위원회는 이날 오후 2시30분 충북 괴산군 청천면 환경문화전시장에서 10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문장대온천 개발 반대 총궐기대회를 가졌다.궐기대회는 2013년 3월 19일 청천면 푸른내문화센터 앞에서 1000여 명이 참여한 궐기대회 이후 2년 4개월 만이다.성양수·유철웅·박종춘 충북범대위 상임대표는 충북범대위 출범 선언문에서 "충북도민은 분별 없는 온천 개발에 맞서 30년 동안 환경과 생존권을 지키기 위해 투쟁했다"며 "두 차례 걸친 대법원 판결도 무시한 채 세 번째 문장대온천 개발사업 추진에 격분하지 않을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이들은 "환경부와 대구환경청은 환경영향평가를 반드시 동의하지 않고 경북도와 상주시는 모든 행정 처분을 불허해야 한다"며 "문장대온천관광휴양지개발지주조합도 분별없는 개발사업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오제세(새정치민주연합·청주흥덕갑) 국회의원은 "쥐꼬리만 한 이익을 위해 수만 배 피해를 초래하는 건 있을 수 없다”며 “문장대온천은 개발이 아닌 파괴이고 이익이 아닌 손실"이라고 강조했다.이언구 충북도의회 의장은 "이 지역(중부4군) 경대수 국회의원이 업무 관계로 외유를 떠나기 앞서 ‘환경부 장관과 대구지방환경청장에게 161만 충북도민을 우롱하지 말도록 할 것을 강력히 주문했다"고 했다"며 "정부 차원에서 문장대온천을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충북범대위는 상주시 지주조합이 대구환경청에 제출한 환경영향평가 본안에 대한 재조사를 환경부에 요청한 상태다.문장대온천 개발은 1985년 문장대·용화온천지구가 온천원보호지구로 지정되고 1992년 개발사업이 알려지면서 이때부터 괴산군을 중심으로 저지운동이 시작됐다.이후 대법원이 2003년과 2009년 개발허가 취소 판결을 내리면서 일단락됐지만 지주조합이 지난달 10일 환경영향평가서 본안을 대구환경청에 제출하면서 논쟁이 재점화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