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이인제 노동시장선진화특별위원회 위원장은 27일 “노사정위원회를 통해 임금피크제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내겠다”고 약속했다. 이 위원장은 노동개혁을 이번 정기국회 내에 반드시 성사시키겠다는 의지를 드러내면서 노사정위원회의 조속한 재개를 촉구했다. 이인제 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열린 노동특위 1차 회의 결과에 대한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임금피크제는 노동시장의 새 문화로 정착할 것”이라면서 “노동유연성이 확대되면 새 일자리도 만들어지고 기업의 활력도 회복될 것이다. 그것이 전체 노동자를 위해서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임금피크제는 일정 연령이 된 근로자의 임금을 삭감하는 대신 정년까지 고용을 보장하는 제도를 말한다.이 위원장은 임금피크제에 관해 “내년부터 정년이 60세 이상으로 법으로 강제 돼 있다. 현행처럼 근무 연수가 많으면 임금이 올라가는 구조를 가지고는 (향후) 충격을 감당키 어렵다. 청년 일자리 만들 여력이 고갈돼 버린다”며 임금피크제 도입의 시급함을 역설했다.그는 또 기업들이 해고 권한을 남용하지 못하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위원장은 “기업의 해고 문제는 민감하기는 하다. 노동시장에 갈등과 혼란이 계속될 수 있다”며 “하지만 해고 절차를 규범화 해서 기업이 해고권한을 남용하지 못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이어 “대법원 판례가 노동시장에서 긍정적인 기능을 하도록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며 “노사정위 차원의 대화와 타협을 통해 노동시장의 경직성을 푸는 것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지난 27일 새누리당 노동특위 위원장에 오른 그는 대화의 첫걸음으로 한국노동조합총연맹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을 노사정위원회 테두리 안으로 끌어들이고자 노력하고 있다.이 위원장은 “노동개혁을 이루기 위해선 노사정위원회가 하루빨리 재개돼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한노총과 민노총이 노사정위에 참여해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는 데 힘을 보태주기를 요청키로 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