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시의 문장대온천 개발과 관련한 대구지방환경청의 환경영향평가서 본안 협의 내용 통보 시한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충북지역은 폭풍전야다.대구환경청은 상주시와 문장대온천관광휴양지개발지주조합이 지난 6월 10일 제출한 환경영향평가서 본안을 20일까지 온천 개발계획 승인 기관인 경북도에 통보하게 된다.대구환경청 관계자는 “문장대온천관광휴양지 조성사업에 따른 환경영향평가서 본안에 대한 협의 의견을 20일까지 경북도에 전자 문서로 통보할 것”이라며 “협의 의견은 동의와 조건부동의, 부동의 가운데 한 가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이어 “온천 개발 승인 관련은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있다”며 “지방환경청에선 환경영향평가 협의 요청에 따른 의견만을 통보할 뿐”이라고 말했다.하지만 문장대온천 개발계획 승인권자인 경북도가 환경영향평가서 본안 협의 내용을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승인하기는 어렵다는 점에서 대구환경청의 협의 의견 결과에 관심이 쏠릴 수밖에 없다.대구환경청이 ‘동의’ 또는 ‘조건부동의’를 하면 온천 개발은 탄력을 받게 돼 충북에서는 이를 경계하고 있다.충북에서 바라는 대구환경청의 의견은 ‘부동의’다.대구환경청이 ‘보완’ 의견도 낼 수 있지만 이러면 문장대온천 문제는 기약 없이 장기화할 공산이 크다.대구환경청 관계자는 “보완 의견은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결론이 아닌 중간 과정으로 보면 된다”며 “이 경우 지주조합에서 지적사항을 보완해 다시 환경영향평가서를 제출해야 하므로 수개월 또는 몇 년이 걸릴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문장대온천개발저지 충북범도민대책위원회는 지난 18일 정부세종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환경부가 문장대온천 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서 본안에 동의하지 않도록 주장한 것도 이번에 문장대온천 문제를 매듭짓기 위해서다.충북이 지역구인 경대수·박덕흠·이종배 국회의원도 이날 국회에서 윤성규 환경부 장관에게 환경영향평가서 부동의를 거듭 촉구했고, 19일에는 충주시민단체연대회의도 부동의를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충북지역의 문장대온천 환경영향평가서 본안 부동의 요구가 대구환경청의 협의 의견에 반영될지 귀추가 주목된다.경북도는 1985년 2월 상주시 화북면 일대를 문장대용화온천지구로 지정하면서 하류지역인 괴산군을 비롯한 충북지역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2003년과 2009년 대법원이 온천 허가 취소 판결을 내렸지만 2013년 상주시에서 환경영향평가서 초안 보고서(재협의)를 제출하면서 양 지역 갈등이 재점화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