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19일 전날 한국노총 노사정 복귀 논의가 무산된 데 대해 강력 비판했다. 김무성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 참석해 “어제 한국노총에서 노사정 복귀 논의를 위한 중앙집행위원회를 개최하게 됐는데 금속 등 산별 노조 조합원들의 회의장 점거로 무산됐다”며 “일부 노조원들의 비민주적이고 무책임한 행태는 아무리 그 주장이 옳다 하더라도 국민들로부터 지지를 받을 수 없다”고 성토했다. 김 대표는 “한국노총, 민주노총 소속 조합원들은 144만명으로 전체 노동자의 8% 수준”이라며 “이들은 노조에 가입되지 않은 90% 중소기업 일반 근로자에 비해 훨씬 높은 임금을 받는다”고 힐난했다. 그는 “고임금 노조원들이 기득권을 고수하려는 것이 전체 노동자들을 위한 건지 묻지 않을 수 없다”며 “노조원들이 대화 자체를 거부하고 일방적 자기주장만 펼친다면 국가 전체의 발전을 가로막을 뿐 아니라 결국 국민이 외면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새정치민주연합에 대해서도 날선 비판을 가했다. 김 대표는 “새정치연합은 청년일자리 창출 법안을 발목 잡고 있고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임금피크제 도입을 부모와 자식 간 싸움으로 몰아가는 등 세대 간 갈등과 반목을 키우고 있다”며 “이는 정말 무책임한 일”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우리나라 재도약 발판을 마련하고자 시작한 노동개혁을 세대 간 갈등을 부추기면서 방해한다는 건 정말 해선 안 될 나쁜 짓”이라며 “새정치연합과 노동계는 당내 청년 혁신위 말이 우리 청년들의 절박한 목소리임을 알고 노동개혁에 힘을 보태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원유철 원내대표도 “일부 노조의 경우 임금피크제 도입 반대를 주장하며 전면 파업에 돌입했다고 한다”며 “60세 정년 연장법 시행이 4개월 앞으로 다가오면서 발등에 불이 떨어졌지만 야당과 일부 노동계 반발로 임금피크제가 늦어지는 안타까운 상황”이라고 판단했다. 원 원내대표는 “이토록 준비 없는 정년 연장을 맞게 되면 기업이 향후 5년간 추가 부담해야 할 인건비는 115조원에 이를 것”이라며 “시간이 지체될수록 노사갈등 및 사회적 비용도 증가한다”고 촉구했다. 노동시장선진화특위 위원장인 이인제 최고위원은 “한노총 노사정위 복귀 여부를 논의하기 위한 회의가 소수 강경파들의 물리적 실력 행사 때문에 무산됐다. 정말 유감스러운 일”이라며 “26일날 재논의 하기로 했다는데 좋은 결정이 꼭 내려지길 바란다”고 기대했다. 이 최고위원은 “양대노총은 전체 근로자의 이익을 대변해야 한다. 기존 뿐 아니라 미래 노동자들의 이익을 대변해야 한다”며 “뿐만 아니라 우리 경제 양대 축의 하나로서 지금 경기 침체에 허덕이는 우리 경제의 새로운 희망을 대변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노사정위에서 노동시장 개혁에 관한 기본 원칙, 방향 등을 대타협을 통해 합의해야 한다”며 “그 합의문은 아무리 늦어도 9월 초에는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진하 사무총장 역시 “정부와 새누리당이 노동개혁에 대해 박차를 가하고 있는데 야당은 노동개혁이 아니고 재벌개혁이란 말을 갖고 나와 논점을 흐리고 있다”며 “참으로 안타깝다”고 말했다. 황 사무총장은 “’아버지 봉급 깎아서 절 채용한다고요?’라는 자극적 현수막을 내거는 등 기성세대-미래세대 편 가르기로 오히려 세대갈등을 부추기는 것에 대해 개탄스럽게 생각한다”며 “노동개혁, 임금피크제는 부모자식, 노사 모두 상생이 목표지 갈등을 부추기는 제도가 아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