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정부가 가정폭력을 4대악으로 규정하고 근절을 위한 각종 정책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지만 가정폭력의 증가세가 꺾이지 않고 있다.이런 가운데 경북지역 가정폭력이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나 특단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또 가정 파탄 뿐 아니라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가정폭력이 해마다 급증하고 있고, 특히 친부모에 의한 아동학대 역시 증가하여 가정 내 문제라며 쉬쉬해오던 가정폭력의 심각성이 드러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4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조원진 의원(대구 달서구병)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올해 7월까지 대구경북지역에서 가정폭력 검거 건수가 536건에 달했다.대구는 97건으로 2014년 대비 14.1% 증가해 전국 평균을 많이 밑돌았지만 경북의 경우에는 439건으로 전년 대비 79.8%나 급증했다. 대구는 전국 17개 광역단체 중 가정폭력 사범 검거건수 증가율이 12위였고 경북은 대전(89.8%)과 경남(82.6%)에 이어 세 번째로 많았다.또한 가정폭력 중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아동학대의 경우 지난해 9월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 시행된 이후 올해 6월말까지 대구에서는 291건(5위), 경북에서는 278건(6위)이 신고됐다.특히 아동학대 가해자 현황을 보면 전체 학대사건 중 70% 가까이가 친부모로부터의 학대인 것으로 나타나 사랑으로 보호받아야 할 아동들의 정신적·정서적 충격이 우려되고 있다. 전국 전체 검거건수는 2만1381건, 검거인원은 2만4596명, 검거인원 중 구속된 인원도 386명에 달했다. 아동학대의 경우도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시행 이후 9개월 동안 6304건이나 발생했다.조 의원은 “가정폭력은 폭력의 대물림 현상으로 학교폭력과 사회폭력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매우 심각한 범죄다”라며 “정부가 4대악 근절을 강력 추진하고 있는 만큼 실효성 있는 근절방안 마련과 함께 치안역량 강화를 통해 국민 행복시대 추구에 혼신의 힘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한편 정부가 척결을 추진중인 4대 악은 성폭력, 학교폭력, 불량식품, 가정폭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