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와 경북혁신도시로 이전한 공공기관 직원 중 미혼과 독신자를 제외하고 가족을 동반해 이주한 경우는 10명 중 3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은 공공기관이 지방으로 이전돼 새로운 신도시가 형성될 경우 경제와 문화적 측면의 새로운 동력이 발생해 국토균형발전이 이뤄질 수 있다는 국책사업임을 감안할 때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새누리당 김태원(경기 고양덕양을)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공공기관들의 혁신도시 이전에 따른 지역별 가족동반 이주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4월말 현재 대구경북지역 총 이전인원 4241명 중 미혼·독신자 844명을 제외한 실제 가족동반 이주율은 전체의 31.1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혁신도시 가족동반 이주율은 35.2%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과 한국사학진흥재단이 각각 절반을 넘었을 뿐 중앙신체검사소, 신용보증기금, 한국감정원은 41%대였으며 한국산업기술평가원은 38.2%, 한국가스공사와 한국산업단지공단은 25%대에 불과했다.경북혁신도시는 가족동반 이주율이 27.1%로 충북과 경남에 이어 세 번째로 낮았다. 가장 적은 인원(4명)인 기상통신소만 50%였고 가장 많은 인원(932명)인 한국도로공사는 34.7%였다.특히 332명이 이주한 교통안전공단은 34명만 가족 동반 이주해 10.9%에 불과했으며 대한법률구조공단(70명 중 6명)과 조달품질원(64명 중 5명)도 각각 11.1%와 9.3%로 극히 저조했다.이밖에 우정사업조달사무소는 87명 중 26명으로 32.9%,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150명 중 33명으로 31.7%, 국립종자원 69명 중 12명으로 24%였다. 대구경북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들이 제주지역의 가족동반 이주율 54.9%와 전북(47.3%), 부산(45.2%)에 비해 낮은 것은 교육과 문화 인프라의 부족이 가장 큰 이유로 꼽히고 있다.김태원 의원은 “교육시설, 병원, 편의시설 등 인프라 부족으로 이주를 꺼리는 가족들에 대한 유인책을 계속해서 찾고, 지역 이전이 쉽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김수원 대구경실련 집행위원장은 “공공기관 이전에 따른 지역발전 등 순기능이 제대로 나타나려면 이전 기관의 직원들이 지역민으로 녹아들어야 가능한 일”이라며 “대구시와 경북도가 적그적인 대책마련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